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 장치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 정보를 저장한다. 2000년대 후반부터 한국 기업들이 SSD 시장에 진출하여 기술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삼성전자는 3D V-NAND 기술을 상용화했다. SSD는 디램이나 낸드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되며, 컨트롤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HDD에 비해 빠른 읽기/쓰기 속도, 저전력, 저소음, 높은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가격이 비싸고 데이터 보존 기간이 짧다는 단점도 있다. SSD는 2.5인치, M.2, PCIe 등 다양한 폼 팩터로 제공되며, 윈도우, macOS,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지원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솔리드 스테이트 컴퓨터 저장 장치 - USB 플래시 드라이브
USB 플래시 드라이브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는 휴대용 저장 장치로, 플래시 메모리 발명 후 상용화되어 플로피 디스크나 CD를 대체하며 데이터 저장, 운영 체제 부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위조 제품, 보안 위협, 제한적인 쓰기 횟수 등의 문제점도 있다. - 솔리드 스테이트 컴퓨터 저장 장치 - NVM 익스프레스
NVM 익스프레스(NVMe)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위한 고성능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낮은 지연 시간과 높은 병렬성을 특징으로 하며 PCI 익스프레스 버스의 잠재력을 활용하고 NVMe-oF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을 확장할 수 있다. - 컴퓨터 저장 장치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는 자기 기록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로, 꾸준히 발전하여 대용량 저장이 가능하지만 SSD의 등장으로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웨스턴디지털, 씨게이트, 도시바가 주요 제조업체이다. - 컴퓨터 저장 장치 - 씨마이크로
씨마이크로는 2007년 설립되어 투자 유치 후 AMD에 인수된 서버 개발 회사로, SM10000, SM15000 시리즈 등의 제품을 개발하고 버라이즌과의 협력 및 여러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비휘발성 메모리 - EPROM
EPROM은 자외선을 사용하여 내용을 지울 수 있는 읽기 전용 메모리이며, MOSFET의 부유 게이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펌웨어 업데이트가 용이하여 소량 생산에 사용되었으나 EEPROM과 플래시 메모리에 의해 대체되었다. - 비휘발성 메모리 -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는 전기적으로 데이터의 쓰기 및 삭제가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로, 마스오카 후지오 박사가 발명하여 카메라 플래시와 유사한 소거 방식으로 인해 명명되었으며, NOR형과 NAND형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분야에 적용된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 |
---|---|
개요 | |
종류 | 컴퓨터 저장 장치 |
특징 | 움직이는 부품이 없음 |
영어 | Solid-state drive |
다른 이름 | Solid State Disk (SSD) 전자 디스크 |
기술 | |
사용 기술 | 플래시 메모리 |
역사 | |
최초 개념 | 스토리지 테크놀로지 코퍼레이션 |
최초 용량 | 45 MB |
최초 도입 기업 | 샌디스크 |
최초 용량 | 20 MB (2.5인치 폼 팩터) |
일반 정보 | |
![]() | |
최대 용량 (2024년 기준) | 최대 200 TB |
2. 역사
SSD의 초기 형태는 1950년대 자기 코어 메모리와 CCROS라는 두 가지 기술에서 비롯되었다.[275][276] 이 초기 보조 기억 장치들은 진공관 컴퓨터 시대에 등장했으나, 더 저렴한 드럼 기억 장치가 도입되면서 사용이 줄었다.[277]
1970년대와 1980년대에는 IBM, 암달(Amdahl), 크레이 같은 회사의 초기 슈퍼컴퓨터용으로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한 SSD가 구현되었지만[278], 가격이 매우 비싸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1970년대 말, 제너럴 인스트루먼츠는 전기적으로 변경 가능한 ROM(EAROM)을 개발했는데, 이는 나중에 나올 NAND 플래시 메모리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했다. 하지만 수명 문제 등으로 인해 많은 회사가 이 기술을 포기했다.[279] 1976년 데이터램(Dataram)은 최대 2MB 용량의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인 '벌크 코어'(Bulk Core)를 출시했으며, 이는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DEC)과 데이터 제너럴(DG) 컴퓨터와 호환되었다.[280] 1978년 텍사스 메모리 시스템즈는 석유 기업의 탄성파 자료 분석용으로 16KB RAM 기반 SSD를 선보였고,[279] 같은 해 스토리지텍(StorageTek)은 IBM 2305 하드 드라이브를 플러그 호환 방식으로 대체하는 STC 4305를 출시했다. 초기에는 전하 결합 소자(CCD)를 사용하다가 나중에는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로 전환한 이 장치는 당시 기계식 하드 드라이브보다 훨씬 빨랐지만, 45MB 용량에 가격이 약 40만달러에 달했다.[112] 이듬해 스토리지텍은 최초의 RAM 방식 SSD를 개발하였다.[281] 1980년대 후반에는 자이텔(Zitel) 등이 DRAM 기반 SSD 제품인 "RAMDisk"를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주로 유니백이나 퍼킨 엘머 같은 특수 시스템에 사용되었다.
현대 SSD의 핵심 기술인 플래시 메모리는 1980년 도시바의 마수오카 후지오가 발명했다.[128][129] 플래시 메모리 기반 SSD는 1989년 샌디스크(SanDisk)의 설립자들이 특허를 받았고,[130] 1991년 IBM의 씽크패드(ThinkPad) 펜 컴퓨터용으로 20MB 용량의 ATA 호환 SSD를 개발하고 출시하며 상업화되었다.[242][243][131] 이 SSD의 OEM 가격은 약 1000USD (MB당 50달러)로 매우 비쌌지만,[132][243] 기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대체하는 플래시 메모리 시대를 여는 신호탄이 되었다. 샌디스크는 메모리 셀 하나에 여러 비트를 저장하는 멀티 레벨 기술과 컨트롤러 기술을 이용해 기존 저장 매체를 모방하는 "시스템 플래시" 개념을 내세웠다.[243] 같은 해인 1989년, Psion MC 400 노트북 컴퓨터는 플래시 기반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 카드 형태의 이동식 스토리지를 위한 슬롯 4개를 탑재했다.[282]
1990년대에는 STEC, Inc.[133], M-Systems[134][135], BiTMICRO[136][137] 등 새로운 플래시 메모리 드라이브 제조업체들이 등장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SSD는 용량, 속도, 가격 면에서 큰 개선을 이루었다.[138][139][140][141] 2008년에는 도시바가 SSD 시장에 진출했다.[244][243] 2009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와 인텔은 SSD 내부에 스트라이핑(RAID 0과 유사)과 인터리빙 방식을 도입하여 3Gbps SATA 대역폭에 근접하는 성능을 구현했다.[245] 2010년 2월, 마벨 테크놀로지 그룹은 SATA 3.0(6.0Gbps)을 지원하는 컨트롤러 칩을 공개했고, 3월에는 마이크론이 Crucial 브랜드로 SATA 3.0을 지원하는 RealSSD C300을 출시하여 순차 읽기 속도 355MB/s를 기록하며 SATA 2.0의 이론상 최대 속도(300MB/s)를 넘어섰다.[246] 2011년에는 샌드포스가 컨트롤러와 플래시 간 데이터 압축 기술을 적용하여 6Gbps SATA 대역폭에 근접하는 소비자용 SSD를 발표했다.[247]
매개변수 | 시작 시점 | 개발 완료 | 개선 |
---|---|---|---|
용량 | 20 MB | 100 TB [113] | 5백만 대 1[114] |
순차 읽기 속도 | 49.3 MB/s[115] | 15 GB/s[116] | 304.25 대 1[117] |
순차 쓰기 속도 | 80 MB/s[118][119] | 15.200 GB/s[116] | 190 대 1[120] |
IOPS | 79[115] | 2,500,000[116] | 31,645.56 대 1[121] |
액세스 시간 | 0.5 ms[115] | 0.045 ms (읽기), 0.013 ms (쓰기) [122] | 읽기: 11 대 1,[123] 쓰기: 38 대 1[124] |
가격 | GB당 5만달러[125] | GB당 0.05USD[126] | 10,000,000 대 1[127] |
2012년 6월, 일본의 주오 대학은 ReRAM과 낸드 플래시 메모리를 결합한 SSD 아키텍처를 개발했으며,[248] 같은 해 10월 도시바는 1.6TB 용량의 기업용 SSD 샘플 출하 계획을 발표했다.[249] 2016년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SSD의 최대 용량이 가장 큰 HDD의 용량을 넘어섰다.[142][143][144][145][146] 2018년에는 플래시 기반 기업용 SSD가 최대 100TB 용량에 도달했고, 소비자용 SSD는 최대 16TB를 제공했다.[113] 삼성 역시 2018년 중에 2.5인치 SAS 인터페이스 기반 32TB 기업용 SSD 샘플 출하 계획을 발표하며 대용량 SSD 기술 경쟁에 참여했다.[250] 고급 소비자 모델의 경우 읽기/쓰기 속도가 최대 14.5GB/s까지 향상되었다.[116]
SSD 가격 또한 크게 하락하여, 기가바이트(GB)당 비용이 1991년 약 5만달러에서 2012년에는 1USD 미만으로 떨어졌고,[251] 2020년에는 0.05USD 미만까지 내려갔다.[126]
인터페이스와 폼팩터도 발전했다. 기존의 SATA 및 SAS 인터페이스와 표준 HDD 폼팩터 외에도 mSATA, M.2, U.2, NF1/M.3/NGSFF,[9][10] XFM Express,[11] EDSFF[12][13] 등 새로운 폼팩터가 등장했다. 또한 PCI Express(PCIe)를 통한 NVM Express(NVMe)와 같은 더 빠른 인터페이스는 HDD의 성능을 훨씬 뛰어넘는 속도를 가능하게 했다.[3] 2021년에는 NVMe 2.0 규격과 함께 Zoned Namespaces(ZNS) 기술이 발표되어, 데이터를 SSD의 물리적 위치에 직접 매핑하여 접근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147] 2024년 삼성은 세계 최초로 하이브리드 PCIe 인터페이스를 갖춘 삼성 990 EVO를 발표했는데, 이 SSD는 M.2 슬롯에서 x4 PCIe 4.0 또는 x2 PCIe 5.0 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148]
SSD 기술이 발전하면서 노트북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서의 사용이 증가했다. 최초의 플래시 메모리 SSD 기반 PC 중 하나는 2006년 일본에서 출시된 소니 바이오 UX90이었다.[154] XO 랩탑 역시 초기에 SSD를 탑재한 대표적인 기기이다.[160] 2009년까지 델, 도시바, 에이수스, 애플, 레노버 등 주요 제조사들이 SSD를 탑재한 노트북을 생산하기 시작했다.[155][156][157][158][159][161][162] 2010년 애플의 맥북 에어 라인은 기본 저장 장치로 SSD를 채택했으며,[163][161] 2011년 인텔의 울트라북 플랫폼이 등장하면서 SSD는 더욱 널리 보급되었다.[164] 현재 SSD는 다양한 회사에서 제조 및 유통되고 있다.[165]
SSD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달리 움직이는 기계 부품 없이 반도체 셀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로 인해 물리적 충격에 강하고, 작동 소음이 없으며, 데이터 접근 시간이 빠르고 입출력 속도(IOPS)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6] 또한 HDD보다 소비 전력이 적고 가볍다.[211] 2024년 기준으로 SATA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SSD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HDD의 약 5배에 달한다.
하지만 SSD에도 단점과 과제가 존재한다. 플래시 메모리 셀은 재기록 가능 횟수에 제한이 있다(쓰기 수명). 제조사들은 컨트롤러 기술 개선을 통해 특정 셀만 과도하게 사용되는 것을 막고 수명을 늘리려 노력하고 있다.[211] 또한 플래시 메모리 특성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로 장기간 방치하면 데이터가 서서
2. 1. 한국 기업들의 SSD 시장 진출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 기업들의 SSD 시장 진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3. 구조 및 기능
SSD는 HDD와 달리 자기 디스크 대신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주로 낸드 플래시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지만, D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SSD의 핵심 구성 요소는 데이터를 실제로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고 SSD의 전반적인 작동을 관리하는 컨트롤러, 그리고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한 캐시 메모리이다.
SSD는 HDD처럼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해 디스크를 회전시키거나 헤드를 움직일 필요 없이, 모든 데이터 접근이 전자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 덕분에 SSD는 HDD에 비해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짧은 탐색 시간(Access time)을 가지며, 기계적 충격에도 강한 내구성을 보인다.[19] 또한, 작동 소음이 거의 없고 전력 소비도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다.[34][36]
하지만 SSD는 일반적으로 HDD보다 기가바이트당 가격이 비싸며,[6][20]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상 각 메모리 셀에 데이터를 쓰고 지울 수 있는 횟수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쓰기 수명 제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SSD 컨트롤러는 특정 셀에만 쓰기가 집중되지 않도록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웨어 레벨링(Wear Leveling) 기술[21]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한다. 또한, SSD는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에 취약하여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드라이브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될 수 있으며,[18] 컨트롤러 펌웨어의 버그로 인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21][22]
플래시 메모리는 하나의 셀에 몇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지에 따라 SLC, MLC, TLC, QLC 등으로 나뉜다. 셀당 저장 비트 수가 많을수록 용량 대비 가격은 저렴해지지만, 속도와 내구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메모리 셀을 수직으로 쌓아 집적도를 높인 3D NAND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 높은 용량과 성능을 가진 SSD가 개발되고 있다.
SSD는 컴퓨터와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M.2, SATA, PCI Express(NVMe 방식 사용)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규격을 사용한다.[283]
아래는 NAND 플래시 기반 SSD와 HDD의 주요 특징을 비교한 표이다.
속성 또는 특성 |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
---|---|---|
용량당 가격 | SSD는 일반적으로 HDD보다 비싸며,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예상된다. 2018년 초 기준으로 SSD 가격은 4TB 모델의 경우 기가바이트당 약 0.3달러였다.[23] | 2018년 초 기준으로 HDD는 1TB 모델의 경우 기가바이트당 약 0.02USD~0.03USD였다.[23] |
저장 용량 | 2018년까지 SSD는 최대 100TB 크기로 출시되었지만,[24] 저가형 모델은 일반적으로 120GB에서 512GB 사이였다. | 2023년까지 최대 30TB의 HDD가 출시되었다.[25] |
신뢰성 – 데이터 보존 | 마모된 SSD(예: 테라바이트 쓰기)는 전원이 없는 상태에서 3개월에서 1년 후에 데이터를 손실하기 시작할 수 있으며, 특히 고온에서 그렇다.[4] 최신 SSD는 사용량에 따라 데이터를 더 오래 보존할 수 있다. SSD는 일반적으로 장기 보관에 적합하지 않다.[26] | HDD는 서늘하고 건조한 환경에 보관하면 전원 없이 더 오랫동안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계적 부품이 고장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장기간 보관 후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
신뢰성 – 수명 | SSD는 기계적 부품이 없으므로 이론적으로 HDD보다 더 신뢰할 수 있다. 그러나 SSD 셀은 제한된 횟수의 쓰기 후에 마모된다. 컨트롤러는 이를 완화하여 정상적인 조건에서 수년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27] | HDD는 기계적 마모에 취약한 움직이는 부품이 있지만, 저장 매체(자기 플래터)는 읽기/쓰기 사이클로 인해 저하되지 않는다. 연구에 따르면 HDD는 9~11년 동안 지속될 수 있다고 한다.[28] |
시작 시간 | SSD는 기계적 부품을 준비할 필요가 없어 거의 즉시 시작된다. | HDD는 데이터에 접근하기 전에 몇 초 동안 회전해야 한다.[29] |
순차 접근 성능 | 소비자용 SSD는 모델에 따라 200MB/s에서 3500MB/s 사이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30] | HDD는 디스크의 회전 속도 및 데이터 위치에 따라 약 200MB/s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외부 트랙은 더 빠른 전송 속도를 허용한다.[31] |
임의 접근 성능 | SSD의 임의 접근 시간은 일반적으로 0.1ms 미만이다.[32] | HDD의 임의 접근 시간은 2.9ms(고급)에서 12ms(랩톱 HDD)까지 다양하다.[33] |
전력 소비 | 고성능 SSD는 HDD가 필요로 하는 전력의 약 절반에서 3분의 1을 사용한다.[34] | HDD는 2.5인치 드라이브의 경우 2~5와트를 사용하고, 고성능 3.5인치 드라이브는 최대 20와트를 소비할 수 있다.[35] |
음향 소음 | SSD는 움직이는 부품이 없어 조용하다. 일부 SSD는 블록 삭제 중에 높은 톤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36] | HDD는 회전하는 디스크와 움직이는 헤드에서 소음을 발생시키며, 이는 드라이브의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온도 제어 | SSD는 일반적으로 더 높은 작동 온도를 견딜 수 있으며 특별한 냉각이 필요하지 않다.[37] | HDD는 고온 환경(35°C 이상)에서 신뢰성 문제를 피하기 위해 냉각이 필요하다.[38] |
SSD는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바탕으로 PC의 운영 체제 부팅 시간을 단축하고 프로그램 실행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며, 데이터 센터의 서버[223], 게임 콘솔(PlayStation 5 등), 차량 내비게이션[224] 등 다양한 분야에서 HDD를 대체하며 사용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3. 1. 컨트롤러
모든 SSD에는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컨트롤러는 NAND 메모리와 호스트 컴퓨터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한다. 컨트롤러는 성능을 최적화하고 데이터를 관리하며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펌웨어를 실행하는 임베디드 프로세서이다.[52][53] SSD의 성능과 수명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읽기/쓰기 속도나 쓰기 횟수의 상한선 또한 펌웨어를 포함한 컨트롤러 칩의 사양으로 결정된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 칩 벤더나 모델명이 명시되는 경우가 많다. 압축 쓰기 기능이나 암호화 기능을 가진 컨트롤러도 있다.컨트롤러가 수행하는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불량 블록 관리 및 매핑
- 읽기 및 쓰기 캐싱
- 암호화
- 크립토-슈레딩
- 오류 감지 및 수정 (ECC), 예를 들어 BCH 코드 사용[54]
- 가비지 컬렉션
- 읽기 스크러빙 및 읽기 방해(Read disturb) 관리[225]
- 웨어 레벨링
SSD의 전반적인 성능은 장치 내 NAND 플래시 칩의 병렬 처리 수와 컨트롤러의 효율성에 따라 확장될 수 있다. 단일 플래시 칩은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여러 칩에 접근 부하를 효율적이고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병렬 처리를 통해 대역폭을 향상시키고 칩의 높은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226]
마이크론과 인텔은 데이터 스트라이핑 및 인터리빙과 같은 기술을 구현하여 읽기/쓰기 속도를 향상시킨 빠른 SSD 개발을 선도했다.[55] 최근에는 샌드포스(SandForce)가 플래시 메모리에 기록되는 데이터 양을 줄이기 위해 데이터 압축 기술을 통합한 컨트롤러를 도입하여 성능과 내구성을 모두 향상시킬 가능성을 제시했다.[56]
컨트롤러 펌웨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 인텔 SSD 320 시리즈의 초기 펌웨어 버전("0362" 제외)에서는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 후 드라이브 용량이 운영체제에서 8MB로만 인식되어 데이터 접근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보고되었다. 이는 속칭 "8MB 병"으로 불린다.
- 크루셜(Crucial) m4 및 C300 시리즈의 초기 펌웨어에서는 SATA의 LPM(Link Power Management) 기능 활성화 시 SSD가 응답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LPM 문제"로 알려졌으며, 펌웨어 업데이트나 호스트 설정 변경으로 해결되었다.
- 크루셜 C300 시리즈의 초기 펌웨어("0006")에서는 Windows 7 등 TRIM 명령이 활성화된 환경에서 플래시 메모리 소모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는 버그가 보고되었다.
- 크루셜 m4 시리즈의 초기 펌웨어("0009" 이전)에서는 누적 사용 시간이 5184시간 이상이 되면 SSD가 응답을 멈추는 버그가 발견되었다. 이는 "5184시간 문제"로 불린다.
3. 2. 플래시 메모리
대부분의 SSD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비휘발성 NAND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다.[60] NAND 플래시는 비용 효율적이며 전원 공급 없이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SSD는 일반적으로 "플래시 드라이브"라고 불리며, 작동에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고 데이터 영속성을 보장한다.NAND 플래시 메모리는 하나의 메모리 셀에 몇 비트의 정보를 저장하는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대표적으로 셀당 1비트를 저장하는 SLC(Single-Level Cell), 2비트를 저장하는 MLC(Multi-Level Cell), 3비트를 저장하는 TLC(Triple-Level Cell), 그리고 4비트를 저장하는 QLC(Quad-Level Cell) 등이 있다.[61] 각 방식은 성능, 내구성, 비용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일반적으로 셀당 저장 비트 수가 많아질수록 가격은 저렴해지지만 속도와 내구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각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조)
초기 SSD는 평면(2D) 구조의 NAND 플래시를 사용했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 3D NAND(V-NAND) 기술이 널리 도입되었다. 3D NAND는 메모리 셀을 수직으로 여러 층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동일 면적에 더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집적도를 크게 높였다.[68][227] 이를 통해 SSD의 저장 용량을 늘리는 동시에 성능을 개선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플래시 메모리는 HDD와 달리 데이터를 읽고 쓰는 횟수에 제한이 있으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데이터 보존 기간도 상대적으로 짧다는 특징이 있다.[224][263] 특히 셀당 저장 비트 수가 많거나 미세 공정이 적용될수록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SSD 컨트롤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한다. 특정 셀에만 쓰기가 집중되는 것을 막고 모든 셀을 균등하게 사용하도록 관리하는 웨어 레벨링(Wear Leveling) 기술이 대표적이다.[62][63][64][65][66] 또한, 오류 수정 코드(ECC), 데이터 인터리빙, 캐시 메모리 활용, 예비 저장 공간(Over-provisioning) 확보 등의 기술을 통해 SSD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수명을 연장시킨다. 3D NAND 기술 역시 셀 간 간섭을 줄여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3. 2. 1. SLC, MLC, TLC, QLC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SSD는 하나의 메모리 셀에 몇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지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대표적으로 SLC(Single Level Cell), MLC(Multi Level Cell), TLC(Triple Level Cell), QLC(Quad Level Cell) 등이 있으며, 각 방식은 저장 용량, 속도, 내구성, 가격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구분 | SLC (Single Level Cell) | MLC (Multi Level Cell) | TLC (Triple Level Cell) | QLC (Quad Level Cell) |
---|---|---|---|---|
셀당 비트 수 | 1비트 | 2비트 | 3비트 | 4비트 |
주요 특징 | 빠른 속도와 높은 내구성 | 적절한 용량, 속도, 내구성 | 용량 중시, 가격 대비 성능 우수 | 대용량 구현에 유리 |
읽기 속도 | 상대적으로 빠름 | SLC보다 느림 | MLC보다 느림 | TLC보다 느림 |
쓰기 속도 | 단일 비트 저장으로 가장 빠름 | 2비트 동시 기록으로 SLC보다 느림 | 3비트 동시 기록으로 MLC보다 느림 | 4비트 동시 기록으로 가장 느림 |
셀 수명 (쓰기/지우기 횟수) | 약 10만 회 | 약 1만 회 | 약 1천 회 | 약 100회 |
용량 대비 가격 | 매우 높음 | 높음 | 보통 | 낮음 |
- SLC: 셀 하나에 1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속도가 가장 빠르고 쓰기/지우기 가능 횟수가 약 10만 회에 달해 내구성이 뛰어나다. 하지만 제조 단가가 매우 높아 주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서버[229][230]나 산업용 임베디드 시스템 등 특수 용도로 사용된다.
- MLC: 셀 하나에 2비트를 저장한다. SLC보다 속도와 내구성은 낮지만(약 1만 회), 용량 대비 가격이 저렴하여 초기 SSD 대중화를 이끌었다. 2013년 기준으로 보급형 드라이브에 주로 사용되었으며[286][287], 비교적 높은 안정성과 내구성을 바탕으로 오래 사용하거나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려는 사용자들에게 선호되기도 한다.
- TLC: 셀 하나에 3비트를 저장한다. MLC보다 속도와 내구성은 더 낮지만(약 1천 회), 가격 경쟁력이 높아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초기에는 성능과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기술 발달로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예를 들어, 키오시아와 같은 제조사는 3D 낸드 기술과 SLC 쓰기 캐시 기술 등을 적용하여 TLC의 성능과 내구성을 보완하고 있다.
- QLC: 셀 하나에 4비트를 저장한다. 저장 밀도가 가장 높아 대용량 SSD를 저렴하게 구현할 수 있지만, 속도와 내구성(약 100회)은 가장 낮다. 주로 읽기 작업 위주로 사용하거나 대용량 데이터 보관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다.
초기에는 셀 레벨 간 성능 차이가 컸지만, 컨트롤러 기술과 웨어 레벨링(wear leveling) 알고리즘, 캐시 메모리 활용 등이 발전하면서 MLC, TLC 제품의 실제 체감 성능 격차는 많이 줄어들었다. 특히 읽기 속도는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쓰기 속도 역시 기술 보완을 통해 개선되고 있다. 다만, 셀 레벨이 높아질수록 쓰기 수명과 데이터 보존 안정성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SSD 제조사들은 웨어 레벨링(쓰기 횟수를 특정 셀에 집중시키지 않고 분산시키는 기술), 예비 공간(Over-provisioning), 캐시 메모리 탑재 등의 기술을 통해 쓰기 수명 제한 문제를 완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사용 환경에서는 충분한 수명을 보장한다고 설명한다.[260][261] 하지만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쓰기 작업이 매우 빈번한 환경에서는 여전히 수명 문제가 중요하게 고려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기간이 HDD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으며, 특히 고온 환경에 장기간 방치될 경우 데이터 손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224][263] 셀 미세화 공정이 진행될수록 이러한 데이터 보존 기간은 짧아지는 경향이 있어, 장기적인 데이터 보관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제조사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다시 기록하는 등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264]
3. 3. 캐시 메모리
SSD 내부에는 플래시 메모리와 이를 제어하는 전용 컨트롤러 칩 외에도, 성능 향상을 위한 캐시 메모리가 탑재되는 경우가 많다.일반적으로 캐시 메모리로는 DRAM이 사용되며, 이는 SSD의 읽기/쓰기 속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캐시 메모리는 주로 데이터의 실제 저장 위치 정보인 주소 변환 테이블을 임시 저장하는 데 사용되지만, 데이터 읽기/쓰기 작업 자체를 위한 캐시로도 활용된다.[231] 예를 들어, 데이터의 일부만 수정하는 '부분 쓰기'가 발생할 경우, 해당 데이터가 포함된 전체 블록을 캐시 메모리에 임시로 보관했다가 작업을 처리한다. 또한, 여러 번의 작은 쓰기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플래시 메모리에 직접 기록하는 대신, 캐시 메모리에 모아 두었다가 한 번에 처리함으로써 플래시 메모리의 쓰기 가능 횟수(수명)를 실질적으로 늘리는 효과도 있다.
하지만 비용 절감을 위해 저가형 제품에서는 이러한 DRAM 캐시 메모리가 탑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예: 삼성 SSD 980 등[232]).
한편, 2012년에는 멜코 홀딩스 산하의 버팔로 메모리에서 DRAM 대신 비휘발성 메모리인 MRAM을 캐시로 사용한 SSD를 산업용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MRAM은 전원이 갑자기 차단되어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특성이 있어, 컨트롤러의 관리 데이터나 쓰기 중이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의 데이터 안정성(내장애성)을 높이고 소비 전력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228]
'''호스트 메모리 버퍼'''(Host Memory Buffer, HMB) 기술은 SSD 자체에 DRAM 캐시를 탑재하는 대신, 컴퓨터의 주 메모리(RAM) 일부를 빌려와 SSD의 캐시처럼 사용하는 방식이다.[231] 이 기술을 사용하면 DRAM 캐시가 없는 저가형 SSD의 단점인 성능 저하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즉, 비용은 절감하면서도 DRAM 캐시가 탑재된 SSD와 비슷한 수준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231][233]
HMB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운영 체제(OS)가 해당 기능을 지원해야 한다.[233][234] Windows의 경우, 2016년에 배포된 Windows 10 Anniversary Update(버전 1607)부터 HMB를 공식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했다.[234] 그러나 모든 환경에서 HMB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 게임 콘솔 등에서는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예: PS5는 2024년 현재 HMB를 지원하지 않는다[235]).
3. 4. 인터페이스
SSD의 호스트 인터페이스는 SSD와 컴퓨터 본체(호스트 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물리적인 연결 단자와 신호 방식을 의미한다. 이 인터페이스는 SSD 내부에 있는 컨트롤러 칩에 의해 관리되며, 기존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에서 사용되던 방식과 유사한 경우가 많다.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가 있으며, 컴퓨터 내부에 장착하는 SSD에는 주로 SATA, M.2, PCI Express 등이 사용되고, 컴퓨터 외부에 연결하는 외장형 SSD에는 USB나 썬더볼트 등이 주로 쓰인다. 주요 인터페이스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인터페이스 | 주 사용처 | 특징 | 최대 속도 (예시) |
---|---|---|---|
직렬 ATA (SATA) | 소비자용 PC |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인터페이스 | SATA 3.0: 6.0 Gbit/s[86] |
직렬 연결 SCSI (SAS) | 기업용 서버/스토리지 | SATA보다 빠르고 안정성이 높음 | SAS 3.0: 12.0 Gbit/s[87] |
PCI Express (PCIe) | 고성능 데스크톱/워크스테이션/서버 | 메인보드에 직접 연결하여 매우 빠른 속도 제공 | PCIe 3.0 x4: 31.5 Gbit/s[88] |
M.2 | 노트북, 소형 PC, 고성능 데스크톱 | 작은 크기의 폼 팩터, SATA 또는 PCIe 버스 사용 가능 | SATA: 6.0 Gbit/s, PCIe 3.0 x4: 31.5 Gbit/s |
U.2 (SFF-8639) | 기업용 서버/스토리지 | PCIe 속도를 제공하며, 서버 환경에 적합한 견고한 커넥터 사용 | PCIe 3.0 x4: 31.5 Gbit/s |
USB | 외장형 SSD |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 가능 | USB 3.1 Gen 2: 10 Gbit/s[89] |
썬더볼트 | 고급 외장형 SSD, 고성능 주변기기 | 매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 지원 | Thunderbolt 3/4: 40 Gbit/s |
이 외에도 기업용 시스템에서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파이버 채널 인터페이스(최신 버전 최대 128 Gbit/s)가 사용되기도 한다. 과거에는 병렬 ATA (PATA, 최대 1064 Mbit/s)나 병렬 SCSI (최대 2560 Mbit/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SSD도 있었으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빠르고 안정적인 SATA나 SAS 인터페이스로 대체되었다.[90][91][92] 마지막 병렬 SCSI 기반 SSD는 2004년에 출시되었다.[92]
물리적인 연결 방식 외에도, 운영 체제가 SSD와 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명령어 집합을 정의하는 논리 인터페이스도 중요하다. 대표적인 논리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다.
- 고급 호스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AHCI): 원래 HDD를 위해 설계된 방식으로, SAT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SSD에서 흔히 쓰인다. 하지만 SSD의 성능을 완전히 끌어내기에는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 NVM Express (NVMe): SSD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최신 방식으로, SSD 내부의 여러 낸드 플래시 칩이 동시에 작동하는 병렬 처리 능력을 최대한 활용한다. AHCI 방식보다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지연 시간)이 훨씬 짧고, 더 많은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처리량)할 수 있다.[93]
SSD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기존 인터페이스의 속도 한계에 부딪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2009년 2분기에 출시된 도시바 SSD는 읽기 200MB/s, 쓰기 240MB/s로 당시 HDD보다 약 5배 빨랐고, 2014년에는 SATA 3.0 (6Gbps) 인터페이스의 속도 상한에 근접하는 제품들이 등장했다. 이후 M.2 인터페이스와 NVMe 프로토콜이 채택되면서 SSD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2016년에는 읽기 속도가 3,500MB/s에 달했고, PCI Express 4.0 규격이 등장한 2019년에는 5,000MB/s, 2020년에는 7,000MB/s에 이르는 제품들이 출시되었다. 2018년 시점에서도 이미 읽기/쓰기 속도가 모두 2,000MB/s를 넘는 NVMe SSD 제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2013년경부터는 mSATA (mini-SATA)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SSD가 등장했다. mSATA는 SATA와 동일한 신호를 사용하지만, 메인보드에 직접 장착할 수 있어 별도의 전원 케이블이나 데이터 케이블이 필요 없다. 크기가 작아 공간이 제한적인 소형 PC나 노트북 PC에 주로 사용되었다. 일부 mSATA SSD는 인텔 스마트 응답 기술(ISRT)과 같은 HDD 캐싱 기술에 사용되기도 했고, 일반적인 저장 장치로도 활용되었다.
이처럼 SSD는 HDD와 동작 원리와 특성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연결 방식(인터페이스), 폼 팩터, 내구성, 제어 명령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새로운 표준 규격이 필요하게 되었다. 미국의 산업 규격 단체인 JEDEC는 2007년부터 SSD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여, 2010년 9월에 SSD의 기능 및 내구성 시험 방법에 관한 규격(JESD218)과 내구성 시험 시 부하 조건에 관한 규격(JESD219)을 제정했다. 또한, 운영 체제와 SSD 간의 통신 규격과 관련해서는 2008년 4월 인텔이 마이크로소프트, 델과 공동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호스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규격(NVMHCI Spec. Rev 1.0)을 발표했으며, 이는 이후 NVMe 규격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4. 폼 팩터
어떤 장치의 크기와 모양은 해당 장치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의 크기와 모양에 크게 좌우된다. 기존의 HDD와 광학 드라이브는 내부의 회전하는 플래터 또는 광 디스크와 스핀들 모터를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반면 SSD는 다양한 상호 연결된 IC와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구성되므로, 그 모양은 더 이상 회전식 미디어 드라이브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3]
SSD는 다양한 폼 팩터로 제공되어 여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솔리드 스테이트 저장 장치는 내부에 여러 개의 SSD가 있는 랙 마운트 폼 팩터일 수도 있는 더 큰 섀시로 제공된다. 이들은 모두 섀시 내부의 공통 버스에 연결되고 단일 커넥터로 외부와 연결된다.[3]
=== HDD 폼 팩터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형태에 맞춘 SSD는 기존 인프라를 활용하여 장치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96] 이러한 전통적인 폼 팩터는 회전 미디어의 크기(예: 5.25인치, 3.5인치, 2.5인치, 1.8인치)로 구분된다.
- '''2.5인치''':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폼 팩터이다. 주로 노트북에 사용되며, 대부분의 SATA SSD가 이 형태를 따른다. 두께는 7mm와 9.5mm가 일반적이다.[94] 데스크톱 컴퓨터의 3.5인치 베이에는 어댑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장착할 수 있다.
- '''1.8인치''': 과거 소형 HDD를 대체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인터페이스''': 초기에는 구형 PC와의 호환성을 위해 IDE 단자를 탑재한 SSD도 있었으나[236], HDD에서 SATA 인터페이스가 주류가 되면서 SSD 역시 SATA 연결이 일반화되었다. 1.8인치 HDD 교체용으로 ZIF나 LIF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제품도 개발되었다.
=== 소형 폼 팩터 ===
울트라북이나 태블릿 컴퓨터처럼 공간 제약이 큰 장치를 위해 몇 가지 소형 폼 팩터가 표준화되었다.
- '''mSATA''': PCI Express Mini Card의 물리적 레이아웃을 사용하면서 SATA 신호를 전송하는 규격이다. 기판에 직접 실장할 수 있어 공간 절약이 필요한 소형 PC나 노트북에 주로 사용되었다. 인텔 스마트 응답 기술(ISRT)에서 HDD 캐시 용도로 사용되거나, 단일 SSD로 사용될 수 있다.
- '''M.2''': 이전에는 NGFF(Next Generation Form Factor)로 불렸으며, mSATA보다 발전된 폼 팩터이다. 카드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크기를 최소화하도록 설계되었다. M.2 표준은 SATA와 PCI Express 인터페이스를 모두 지원하여 다양한 종류의 SSD를 장착할 수 있다.[97]
=== 고성능 및 엔터프라이즈 폼 팩터 ===
- '''PCI Express 카드''': HHHL(Half Height Half Length) 또는 AIC(Add-in Card)라고도 불린다.[104][105][106] 고성능, 대용량 SSD에 사용되며, 더 많은 메모리 칩을 탑재하고 큰 방열판을 사용할 수 있다. PCIe 슬롯을 통해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모두 해결한다. 직접적인 PCIe 플래시 컨트롤러[102] 또는 PCIe 신호를 SATA 신호로 변환하는 브리지 칩을 사용할 수 있다.[103] M.2 등 다른 폼 팩터의 SSD를 PCIe 카드로 변환하는 어댑터 보드도 존재한다.
- '''U.2''': 주로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사용되는 2.5인치 폼 팩터 기반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NVMe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 '''랙 마운트 시스템''': DRAM 기반 SSD 솔루션 중 일부는 랙 마운트 시스템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박스 형태를 사용한다. 많은 수의 DRAM 칩과 백업 전원 등을 수용하기 위해 기존 HDD 폼 팩터보다 더 큰 공간이 필요하다.[98]
=== 특수 폼 팩터 ===


- '''Disk-on-a-module (DOM)''': 40/44핀 PATA 또는 SATA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마더보드에 직접 연결하여 HDD처럼 사용하는 플래시 드라이브이다. 별도의 드라이버 없이 기존 HDD를 에뮬레이션하며,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씬 클라이언트 등 혹독한 환경이나 작은 크기가 요구되는 곳에 사용된다. 저장 용량은 4MB에서 128GB까지 다양하다.
- '''SATADIMM''': 마더보드의 비어있는 DDR3 DIMM 슬롯을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하고, 별도의 SATA 커넥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Viking Technology에서 개발했다.[100]
- '''SATADOM''': Innodisk 등에서 생산하며, 전원 케이블 없이 마더보드의 SATA 커넥터에 직접 장착된다.[101]
- '''BGA 패키지''': 시스템 보드에 직접 납땜되는 형태의 SSD이다. 낮은 전력 소비와 작은 크기가 장점이며, 진동과 충격에 강하다.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 사용되며, eMMC나 eUFS 표준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111] M-Systems의 DiskOnChip[107], 실리콘 스토리지 테크놀로지의 NANDrive[108][109] 등이 대표적이다.
- '''기타 기판 형태''': 미니 PCIe, 미니-DIMM, MO-297 등 과거 메모리 모듈에 사용되던 폼 팩터도 SSD에 활용된다.[99]
=== 휴대용 SSD ===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는 외장형 SSD도 있으며, 휴대성을 강조한 제품이나 USB 메모리 크기의 스틱형 SSD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 인터페이스 및 표준화 ===
SSD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기존 SATA 인터페이스의 대역폭 한계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SATA Express, PCI Express 등 더 빠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제품들이 등장했다. 특히 NVMe 프로토콜은 SSD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된 통신 규격으로, M.2, U.2, PCIe 카드 형태의 SSD에서 주로 사용된다.
SSD는 HDD와 동작 원리와 특성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형태, 내구성, 제어 명령 등 다양한 측면에서 표준화가 요구되었다. JEDEC는 2010년 SSD의 기능 및 내구성 시험 방법에 관한 규격(JESD218, JESD219)을 제정했으며,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델 등은 2008년 NVMHCI(비휘발성 메모리 호스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 규격)를 발표했다.
스마트폰이나 임베디드 기기에서는 SATA 대신 eMMC 인터페이스가 주로 사용되며, 일부 노트북이나 태블릿에도 eMMC 기반 SSD가 탑재된다.[237][238] eMMC의 후속 규격으로는 UFS가 있다.
5. 성능
SSD는 기존의 HDD에 비해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며, 특히 랜덤 액세스 성능이 뛰어나다. SSD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AHCI(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 설정이 중요하다. AHCI는 운영체제가 SATA 연결 장치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주고받도록 제어하는 기술로, NCQ(Native Command Queuing)를 지원하여 입출력 속도를 향상시키고 데이터 병목 현상을 줄여준다. AHCI 설정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BIOS(CMOS) 설정 화면의 'S-ATA Configuration' 또는 'Storage Configuration' 메뉴에서 활성화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 설치 전에 설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운영체계 설치 후 AHCI를 설정하면 시스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속도 비교 ===
SSD는 연속 읽기/쓰기 속도 면에서 최신 HDD를 크게 앞선다.[254] HDD는 자기 디스크 헤드의 탐색 대기 시간이나 디스크 회전 대기 시간과 같은 기계적 지연 요소로 인해 액세스 시간이 길지만, SSD는 이러한 지연이 거의 없어 특히 랜덤 액세스 처리량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장치 유형 | 최대 순차 전송 속도 (근사치) | |
---|---|---|
HDD(7200rpm) | 약 175MB/s[255] | |
SSD | SATA 연결 (SATA 3 기준) | 약 550MB/s[256] |
NVMe 연결 (PCIe 4.0 기준) | 약 7000MB/s[257] |
SSD의 속도는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예를 들어, 2009년 2분기에 출시된 도시바 SSD는 읽기 200MB/s, 쓰기 240MB/s로 당시 HDD의 약 5배 속도를 보였다. 2014년에는 SATA 3 인터페이스(6Gbps)의 대역폭 한계에 가까운 성능을 내는 제품들이 등장했다. 이후 M.2 및 NVMe 인터페이스가 도입되면서 속도는 더욱 빨라져, 2016년에는 읽기 3500MB/s, PCI Express 4.0이 등장한 2019년에는 5000MB/s, 2020년에는 7000MB/s에 달하는 제품이 출시되었다. 2018년 시점에서도 이미 읽기/쓰기 모두 2000MB/s를 넘는 NVMe SSD가 널리 사용되었다.
=== 랜덤 액세스 성능 ===
SSD의 성능을 평가할 때는 광고에서 자주 강조되는 순차 액세스 속도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는 랜덤 액세스 성능도 중요하다. 이는 벤치마크 소프트웨어([https://www.hdtune.com/ HD Tune Pro] 등)의 랜덤 액세스 쓰기(Random Access Write) 값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초기 SSD 중 일부(예: 2008년경 JMicron의 "JMF602" 컨트롤러 탑재 제품)는 작은 파일의 랜덤 쓰기 속도가 HDD보다 느린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2009년 이후 Indilinx나 인텔 등의 컨트롤러를 탑재한 SSD는 내부에 대용량 캐시 메모리(DRAM)를 장착하여 쓰기 작업 시 발생하는 내부 지연을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HDD보다 훨씬 빠른 랜덤 쓰기 성능을 보여주었다.
랜덤 액세스 성능의 지표로는 IOPS(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가 사용되며, 많은 제조사들이 제품 사양에 읽기 및 쓰기 IOPS 수치를 표기한다.[258]
=== 성능 결정 요인 ===
SSD의 전반적인 성능은 내부에 탑재된 플래시 메모리 칩의 수와 구성 방식, 그리고 컨트롤러의 성능에 크게 좌우된다. 개별 플래시 메모리 칩의 전송 속도는 HDD보다 느릴 수 있지만, SSD는 여러 개의 칩을 전용 IC를 통해 병렬로 연결하고 작동시켜 HDD를 능가하는 높은 성능을 구현한다.
컨트롤러는 SSD의 핵심 부품으로, NAND 메모리와 호스트 컴퓨터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성능을 최적화하고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한다.[52][53] 컨트롤러가 수행하는 주요 기능 중 성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컨트롤러는 NAND 플래시 칩을 병렬로 처리하여 대역폭을 높이고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마이크론과 인텔은 데이터 스트라이핑 및 인터리빙과 같은 기술을 통해 초기 SSD의 읽기/쓰기 속도를 향상시켰으며,[55] 샌드포스는 데이터 압축 기술을 컨트롤러에 통합하여 성능과 내구성을 개선하기도 했다.[56]
6.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의 비교
HDD는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기 위해 헤드(바늘)가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기록된 위치까지 이동해야 하므로, 이 이동에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지연 시간(latency)이라고 부르며, 이 때문에 HDD는 데이터를 요청한 후 실제로 읽기까지 약 10ms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한계가 있다. 데이터가 디스크의 어느 위치에 기록되었는지에 따라 접근 시간도 달라진다. 또한, 자주 사용되는 연관된 데이터가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기록된 경우[290], 헤드가 계속 움직여야 하므로 시간이 더 소모된다. 이러한 기계적 구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근본적인 해결은 어려웠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SSD이다. SSD는 모든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하여 전기 신호로 즉시 읽고 쓰기가 가능하므로, HDD와 달리 지연 시간이 거의 없다(실제로는 약 0.1ms 수준). 데이터가 파편화되어 저장된 경우에도 HDD처럼 지연 시간이 늘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작동 방식의 차이로 인해 SSD는 HDD에 비해 빠른 속도, 저소음, 높은 내구성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높은 가격, 쓰기 횟수 제한에 따른 수명 문제, 데이터 복구의 어려움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장점 및 #단점 섹션 참조)
다음은 SSD와 HDD의 주요 특징을 비교한 표이다.
비교 대상 | SSD | HDD | 이유 등 |
---|---|---|---|
저전력 저발열 | ○ | HDD는 원반 회전에 항상 전력을 사용한다. SATA 연결 SSD는 데이터 접근 시 많은 전력을 사용하지만, NVMe SSD에서는 컨트롤러의 발열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 |
내충격성 내진동성 | ○ | 디스크형 기록 매체는 기본적으로 진동에 약하며, HDD는 충격 시 플래터와 헤드가 충돌(헤드 크래시)할 위험이 있다. | |
저소음성 | ○ | HDD는 디스크 회전 및 헤드 이동 시 기계 작동음이 발생하지만, SSD는 물리적 동작이 없어 훨씬 조용하다. | |
접근 속도 | ○ | HDD는 디스크 회전과 헤드 이동으로 인한 탐색 시간이 발생하지만, SSD는 물리적 구동이 없어 접근 속도가 매우 빠르다. | |
쓰기 내구성 | ○ | SSD의 플래시 메모리는 쓰기와 삭제(내부 동작) 시마다 소자가 점차 마모된다. 웨어 레벨링 기술을 사용해도 HDD의 내구성에는 미치지 못하며, 쓰기 빈도가 높은 환경(데이터베이스, 캐시 등)에서는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 |
데이터 보존 기간 | ○ | SSD의 데이터 보존 기간은 일반적으로 10년 전후로 알려져 있다. HDD의 자기 기록 자체는 더 오래 보존될 수 있다 (단, 실제 보존 기간은 사용 환경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 |
내환경성 | ○ | HDD는 SSD보다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작동 가능하다. 산업용 HDD 중에는 작동 온도 -60°C ~ 95°C를 지원하는 제품도 있다. | |
장애 복구 | ○ | HDD는 역사가 길어 데이터 복구 기술과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다. SSD는 컨트롤러 칩에 데이터 저장 방식이 의존하며, 고장 시 완전한 데이터 복구 방법이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 |
용량 단가 | ○ | 동일 용량 대비 HDD가 SSD보다 저렴하다 (가격 차이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이다). | |
고용량성 | ○ | 단일 제품 기준으로 HDD가 SSD보다 더 큰 저장 용량을 제공한다. |
6. 1. 장점
SSD는 HDD에 비해 여러 가지 뚜렷한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점은 주로 모터나 암(arm)과 같은 기계 부품으로 구동되는 HDD와 달리, SSD에는 물리적으로 움직이는 부품이 없다는 구조적 차이에서 비롯된다.
- 빠른 속도: SSD는 데이터를 임의 접근(random access) 방식으로 읽고 쓰기 때문에, HDD처럼 플래터 위에서 특정 데이터 위치를 찾는 데 걸리는 탐색 시간이 거의 없다. 이로 인해 데이터 접근 속도가 HDD보다 훨씬 빠르다.[211] 또한, HDD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려면 플래터 회전 속도나 헤드 이동 속도 같은 기계적 한계에 부딪히지만, SSD는 반도체 기반이므로 이러한 기계적 장벽 없이 논리적 구조 개선을 통해 비교적 쉽게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292] 예를 들어, 2024년 기준으로 SATA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SSD는 일반적인 HDD보다 약 5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보여주며,[211] NVM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최신 SSD는 훨씬 더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자세한 속도 비교는 성능 섹션 참조)
- 저전력, 저소음, 저발열: 물리적으로 회전하는 플래터나 움직이는 헤드가 없기 때문에 HDD보다 전력 소모가 적고, 작동 중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발열 또한 상대적으로 낮다.[211]
- 높은 안정성 및 내구성: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부품이 없어 물리적인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며, 기압이나 온도 변화에도 HDD보다 잘 견딘다.[291] 이는 노트북과 같이 휴대하며 사용하는 기기에서 특히 중요한 장점이다. 또한, 기계적 고장(예: 헤드 충돌)의 위험이 없어 높은 기계적 신뢰성을 보장한다.
- 경량 및 소형화: HDD보다 무게가 가볍고[211], 물리적인 구성 요소가 단순하여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작하기 용이하다. 이로 인해 M.2 규격처럼 매우 작은 크기의 SSD 제작이 가능하며, 이는 노트북이나 태블릿 등 휴대용 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에 기여한다.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SSD는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 드라이브나 고성능을 요구하는 작업 환경, 휴대용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HDD를 대체하며 널리 사용되고 있다.
6. 2. 단점
- 가격: 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동일 용량의 HDD보다 가격이 비싸다. 2016년 기준으로 단위 용량당 가격이 HDD보다 4~5배가량 높았으며[293], 저장 용량 대비 가격 부담이 크다. 특히 고용량 모델일수록 가격 차이가 두드러진다.
- 수명 및 데이터 보존:
- 쓰기 횟수 제한: 데이터를 쓰고 지우는 과정에서 플래시 메모리 셀(기록 소자)이 물리적으로 마모되므로, 쓰기 가능한 횟수에 제한이 있다.[211] 이는 이론적으로 HDD보다 수명이 짧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조사들은 특정 셀에만 쓰기가 집중되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웨어 레벨링(Wear leveling) 기술이나 캐시 메모리 활용, 예비 저장 공간 확보 등으로 실제 수명을 늘리고 있다.[211][260][261] 하지만 쓰기 작업이 매우 빈번한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환경에서는 수명이 예상보다 빠르게 단축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데이터 보존 기간: 플래시 메모리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가 점차 사라질 수 있는 특성이 있다.[211] 특히 고온 환경에서 전원 없이 장기간 방치될 경우, 데이터 손실 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며[224][263], 심한 경우 수 주에서 수개월 만에 데이터가 손실될 우려도 있다.[212] 재기록 횟수 한계에 도달한 SSD를 40°C 이상의 온도에서 방치하면 데이터 증발이 더 빨리 시작될 수 있다.[212] 따라서 아카이브와 같이 데이터를 장기간 안전하게 보존해야 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263]
- 데이터 복구의 어려움:
- SSD는 고장 발생 시 데이터 복구가 HDD에 비해 매우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이 SSD 내부에 탑재된 컨트롤러 칩의 고유한 알고리즘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컨트롤러 칩이 손상되거나 해당 칩의 데이터 처리 방식을 알 수 없으면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기 어렵다. HDD는 비교적 복구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만, SSD는 그렇지 않아 데이터 손실 시 치명적일 수 있다.
- 프리징 현상:
- 일부 SSD 모델에서는 사용 중 갑자기 시스템이 몇 초간 멈추는 프리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주로 내장된 컨트롤러 칩셋의 성능 부족이나 처리 능력의 한계, 펌웨어(하드웨어 제어 소프트웨어)의 오류, 혹은 SSD 자체의 절전 기능과 운영체제(OS)의 절전 기능 간의 충돌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270]
- 과거 특정 컨트롤러 칩(예: JMicron JMF602)을 사용한 초기 SSD 제품에서는 읽기와 쓰기 작업이 집중될 때 시스템이 멈추는 현상(속칭 '푸치프리')이 보고되기도 했다.[269] 또한 특정 펌웨어 버전에서는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 후 드라이브 용량이 8MB로만 인식되는 심각한 오류("8MB 병"), 특정 조건에서 SSD가 응답을 멈추는 문제(예: Crucial m4의 "5184시간 문제") 등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 기타 단점:
- 쓰기 방식의 한계: SSD는 HDD처럼 기존 데이터 위에 바로 덮어쓰지 못하고,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지운 후 새로운 데이터를 써야 한다. 이 때문에 작은 파일을 무작위 위치에 쓰는(Random Write)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읽기 속도와 쓰기 속도가 다른 비대칭적인 성능을 보인다. 제조사들은 FTL(Flash Translation Layer)이라는 기술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 있다.
- 성능 저하: SSD를 오래 사용하면서 데이터 쓰기와 삭제를 반복하면, 처음 구매했을 때보다 쓰기 성능이 느려질 수 있다. 이는 삭제된 영역에 실제 데이터가 남아있다가 새로운 데이터를 쓸 때 비로소 삭제 작업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추가적인 처리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 취약성: 특히 DRAM을 캐시로 사용하는 SSD는 예기치 않은 정전 시 캐시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가 손실될 위험이 있다. 또한, 반도체 소자 기반이므로 정전기에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 유휴 전력 소모: 데이터를 읽거나 쓰지 않는 유휴 상태(Idle state)에서는 오히려 SSD가 HDD보다 전력을 더 많이 소모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배터리 사용 시간에 민감한 기기에서는 특정 상황에서 SSD가 배터리를 더 빨리 소모시킬 수도 있다.
7. 주요 SSD 제조업체
- 삼성전자: 세계 최대의 SSD 제조업체 중 하나로, 특히 3D V-NAND 기술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 SK하이닉스: 고성능 NVMe SSD 등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SSD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주요 기업이다.
- 마이크론: 미국의 주요 반도체 기업으로, 낸드 플래시 기술을 기반으로 SSD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10년에는 S-ATA 3.0(6.0Gbps)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SSD를 시장에 선보이기도 했다.[246]
- 키오시아: 일본의 반도체 기업으로, 이전 도시바의 메모리 사업 부문이 분사하여 설립되었다. 도시바 시절인 2008년부터 SSD를 출시했으며[244][243], 3D NAND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웨스턴 디지털: 전통적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제조업체로 잘 알려진 미국 기업이지만, 2009년 SiliconSystems[224], 2012년 HGST[252], 2016년 샌디스크[253] 등 SSD 관련 기업들을 인수하며 SSD 시장에서도 주요 업체로 자리 잡았다.
8. 운영체제(OS) 지원
일반적으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는 기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에서 사용되던 파일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SSD를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은 대개 TRIM 명령어도 지원하여, SSD가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 블록을 미리 정리해 성능 저하를 막고 수명을 늘리는 데 도움을 준다. 파일 시스템은 SSD 내부적으로 처리되는 웨어 레벨링이나 기타 플래시 메모리 특성을 직접 관리할 필요는 없다. 다만, F2FS나 JFFS2와 같은 일부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은 파일 시스템 메타데이터 업데이트처럼 적은 양의 데이터 변경 시 발생하는 쓰기 증폭을 줄이는 데 유리하다.
운영 체제가 별도의 스왑 파티션에서 TRIM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일반 파일 시스템 내에 스왑 파일을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macOS는 스왑 파티션을 지원하지 않고 파일 시스템 내 파일로만 스왑하므로, 스왑 파일이 삭제될 때 TRIM을 사용할 수 있다.
=== 리눅스 ===
리눅스 커널은 2010년 2월 24일에 출시된 버전 2.6.33부터 TRIM 명령을 지원하기 시작했다.[173] ext4, Btrfs, XFS, JFS, F2FS 파일 시스템에서 discard (TRIM 또는 UNMAP)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TRIM을 사용하려면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discard` 옵션을 주어야 한다. 리눅스 스왑 파티션은 기본적으로 해당 저장 장치가 TRIM을 지원하면 discard 작업을 수행하며, 이 기능은 끌 수도 있다.[174][175][176] SATA 3.1 규격에 포함된 queued TRIM 기능(TRIM 명령이 다른 명령 실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큐에 넣는 기능)은 2013년 11월 2일에 출시된 리눅스 커널 3.12부터 지원된다.[177] 2010년 이후의 표준 리눅스 디스크 유틸리티는 기본적으로 적절한 파티션 정렬을 처리한다.[172]
커널 수준의 TRIM 작업 대신, 사용자 공간 유틸리티인 `fstrim`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유틸리티는 파일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든 블록을 찾아 해당 영역에 대해 TRIM 명령을 보낸다. 보통 `fstrim`은 cron을 통해 주기적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한다.[178]
리눅스 배포판 설치 과정에서는 기본적으로 TRIM이 활성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가 직접 `/etc/fstab` 파일을 수정해야 할 수 있다.[179] 이는 리눅스의 TRIM 명령 구현 방식이 특정 상황에서는 오히려 성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이다.[180][181][182] 2014년 1월 기준으로, 리눅스는 TRIM 명세에서 권장하는 방식(TRIM 범위를 벡터화된 목록으로 정의) 대신 각 섹터마다 개별 TRIM 명령을 보내는 방식을 사용했다.[183]
성능 향상을 위해 I/O 스케줄러를 기본 CFQ(Completely Fair Queuing)에서 NOOP나 Deadline으로 변경하는 것이 권장된다. CFQ는 기존 자기 디스크의 탐색 시간을 최적화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SSD에서는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유발할 수 있다. SSD는 내부적으로 높은 수준의 병렬 처리가 가능하므로, 스케줄링 결정은 SSD 자체 로직에 맡기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184][185]
고성능 SSD 스토리지를 위한 확장 가능한 블록 계층인 ''blk-multiqueue'' (또는 ''blk-mq'')는 주로 Fusion-io 엔지니어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2014년 1월 19일에 출시된 커널 버전 3.13에 리눅스 커널 메인라인으로 통합되었다.[186] 이는 SSD와 NVMe가 제공하는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훨씬 높은 I/O 처리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이 새로운 블록 계층 설계는 내부 큐를 CPU별 큐와 하드웨어 제출 큐의 두 단계로 나누어 병목 현상을 줄이고 I/O 병렬 처리 수준을 크게 높였다. 2015년 4월 12일에 출시된 리눅스 커널 4.0에서는 VirtIO 블록 드라이버, SCSI 계층(SATA 드라이버에서 사용), 장치 매퍼 프레임워크, 루프 장치 드라이버, UBI 드라이버(플래시 메모리 장치용), RBD 드라이버(Ceph RADOS 객체를 블록 장치로 내보냄) 등이 이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도록 수정되었다.[187][188][189][190]
=== macOS ===
macOS X는 10.6.8 (스노우 레오파드) 버전부터 TRIM을 지원하지만, 기본적으로는 Apple에서 구매한 SSD에만 적용된다.[191] 타사 SSD에서는 TRIM이 자동으로 활성화되지 않지만, 'Trim Enabler'와 같은 별도 유틸리티를 사용하거나, macOS 10.10.4 (요세미티) 이후 버전부터 포함된 터미널 명령어 `sudo trimforce enable`을 통해 활성화할 수 있다.[192] 시스템 정보 응용 프로그램이나 `system_profiler` 명령어로 TRIM 활성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macOS 10.6.8 이전 버전에서도 TRIM을 활성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TRIM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는 불확실하다.[193]
===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
윈도우 7 이전 버전, 예를 들어 윈도우 비스타는 SSD보다는 HDD 사용을 주로 가정하고 설계되었다.[197][198] 비스타는 ReadyBoost 기능을 포함하고 파티션 정렬을 개선했지만, SSD에 최적화된 기능은 부족했다. 특히, HDD를 위한 자동 디스크 조각 모음 기능이 SSD에서도 작동하여 불필요한 쓰기를 유발하고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TRIM 명령도 지원하지 않았다.[200] 또한, 구형 시스템처럼 512바이트 섹터 기준으로 파티션이 정렬된 경우, 대부분의 SSD가 사용하는 4 KiB 섹터 경계와 맞지 않아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었다.[199]
윈도우 7부터는 운영 체제가 SSD를 인식하고 작동 방식을 최적화한다.[201][202] SSD가 감지되면 ReadyBoost와 자동 조각 모음 기능이 비활성화된다.[203] 다만, 조각 모음 기능 자체는 완전히 비활성화되는 것이 아니라 SSD에 맞게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204] 이는 볼륨 섀도 복사 서비스(VSS)의 성능 문제와 파일 조각 수 제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204] SuperFetch (이후 SysMain) 기능 역시 SSD에서는 성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불필요한 오버헤드를 유발할 수 있어 대상에서 제외된다.[196][239] 윈도우 7은 표준 NTFS에서 TRIM 명령을 지원하며, 파일 삭제, 파티션 포맷/삭제, 파일 시스템 명령(자르기, 압축 등), 시스템 복원(볼륨 스냅샷) 등 다양한 작업과 통합되어 자동으로 TRIM 명령을 실행한다.[194][201][205][206][239] 기본적으로 TRIM은 활성화되어 있지만, 데이터 복구를 우선시하는 경우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195]
윈도우 8.1 및 이후 버전(예: 윈도우 10, 윈도우 11)은 PCI Express 기반 NVMe SSD에 대한 자동 TRIM도 지원한다. (윈도우 7에서 NVMe SSD TRIM을 사용하려면 특정 업데이트(KB2990941)가 필요하다.) 또한, USB로 연결된 SSD나 SATA-USB 인클로저에 대해서도 USB 연결 SCSI(UASP) 프로토콜을 통해 SCSI unmap 명령(SATA TRIM과 유사)을 지원한다. 윈도우 8.1 이상에서는 자동 TRIM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TRIM을 실행할 수도 있으며, 디스크 조각 모음 도구를 사용하여 SSD 최적화(TRIM 실행)가 가능하다.[207]
=== 솔라리스 / ZFS ===
솔라리스는 10 업데이트 6 (2008년 10월 출시) 이후 버전부터, 그리고 오픈솔라리스, 솔라리스 익스프레스 커뮤니티 에디션, 일루모스, 리눅스용 ZFS, FreeBSD 등 ZF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SSD를 성능 향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지연 시간이 짧은 SSD는 ZFS 의도 로그(ZIL) 저장용(SLOG라고 불림)이나 읽기 데이터 캐시(레벨 2 적응형 대체 캐시, L2ARC)로 사용될 수 있다. FreeBSD용 ZFS는 2012년 9월 23일부터 TRIM을 지원하며,[209] FreeBSD의 유닉스 파일 시스템(UFS) 또한 TRIM 명령어를 지원한다.[210]
=== 기타 문제점 ===
- OS-SSD 간 문제: 운영 체제의 절전 기능과 SSD 자체의 절전 기능 간 타이밍이 맞지 않아 일시적인 멈춤(프리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270]
- 펌웨어 문제: SSD 컨트롤러 펌웨어의 버그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 Intel SSD 320 시리즈의 초기 펌웨어(버전 0362 이전)에서는 갑작스러운 전원 차단 후 드라이브 용량이 8MB로 인식되는 문제(속칭 "8MB 병")가 보고되었다.
- Crucial m4 및 C300 시리즈의 초기 펌웨어에서는 SATA의 LPM(Link Power Management) 기능이 활성화된 환경에서 SSD가 응답하지 않는 문제(속칭 "LPM 문제")가 있었다.
- Crucial C300 시리즈의 초기 펌웨어(0006)는 TRIM 명령이 활성화된 환경에서 플래시 메모리 소모가 비정상적으로 빨라지는 버그가 보고되었다.
- Crucial m4 시리즈의 초기 펌웨어(0009 이전)는 사용 시간이 5184시간을 넘으면 응답을 멈추는 버그(속칭 "5184시간 문제")가 있었다.
9. 향후 전망
SSD는 HDD와 작동 원리가 근본적으로 다르다. HDD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헤드를 물리적으로 움직여 데이터를 기록하지만, SSD는 반도체를 이용해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덕분에 SSD는 진동에 강하고, 데이터 접근 시 소음이 없으며, HDD보다 소비 전력이 적고 가볍다는 장점을 가진다.[211] 또한, 데이터 전송 속도 역시 시리얼 ATA 인터페이스 기준으로 HDD보다 약 5배 빠르다(2024년 기준).[211]
하지만 SSD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플래시 메모리 기반 SSD는 특정 데이터 블록에 데이터를 반복해서 쓰는 횟수에 제한이 있다. 제조사들은 컨트롤러 기술 개선을 통해 SSD 전체 메모리를 균등하게 사용하도록 하여 이 문제를 완화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한계는 존재한다.[211] 또한,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상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전원을 연결하지 않고 장기간 보관할 경우 데이터가 서서히 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수명이 다한 SSD를 40°C 이상의 고온 환경에 방치하면 데이터 손실 속도가 매우 빨라질 수 있다.[212]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SSD 기술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데이터 처리 속도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캐싱 기술이 적용된다. 많은 SSD는 HDD의 버퍼처럼 소량의 DRAM을 캐시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메타데이터를 관리한다. 일부 컨트롤러는 외부 DRAM 없이 온칩 SRAM 등을 활용하기도 하며,[80] SLC 캐시 기술을 통해 MLC나 TLC 방식 SSD의 쓰기 성능을 높이기도 한다.[81] NVMe SSD의 경우, 호스트 메모리 버퍼(HMB) 기술을 이용해 시스템의 DRAM 일부를 캐시로 활용하여 비용 효율성을 높인다.[80] 고급형 SSD는 더 많은 DRAM을 탑재하여 성능을 높이고 쓰기 증폭을 줄인다.[82]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SSD의 성능은 더욱 향상되고 가격은 하락하여, 앞으로 더 많은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참조
[1]
웹사이트
Solid-State Disk Prices Falling, Still More Costly than Hard Disks
https://www.zdnet.co[...]
ZDNet
[2]
웹사이트
SSD Power Savings Render Significant Reduction to TCO
http://www.stec-inc.[...]
STEC, Inc.
[3]
웹사이트
Solid State Storage 101: An introduction to Solid State Storage
https://www.snia.org[...]
SNIA
2009-01-01
[4]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SSD Data Retention
https://www.anandtec[...]
[5]
학술대회
"Essential roles of exploiting internal parallelism of flash memory based solid state drives in high-speed data processing"
https://ieeexplore.i[...]
[6]
웹사이트
SSD vs HDD Price and Performance Study, a Dell technical white paper
http://www.dell.com/[...]
Dell PowerVault Technical Marketing
2011-05-01
[7]
학술대회
"Hystor {{!}}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percomputing"
[8]
웹사이트
WD shows off its first hybrid drive, the WD Black SSHD
http://reviews.cnet.[...]
Cnet
[9]
웹사이트
NF1 SSD | Samsung Semiconductor
https://www.samsung.[...]
[10]
웹사이트
All-Flash NVMe Servers | Supermicro
https://www.supermic[...]
2023-04-28
[11]
웹사이트
Toshiba Unveils XFMEXPRESS Form Factor for NVMe SSDs
https://www.tomshard[...]
2019-08-06
[12]
웹사이트
EDSFF Based Intel Data Center SSDs (Formerly "Ruler" Form Factor)
https://www.intel.co[...]
[13]
웹사이트
Intel's first 'ruler' SSD holds 32TB
https://www.engadget[...]
2019-08-08
[14]
웹사이트
Benchmarking Enterprise SSDs
https://web.archive.[...]
[15]
잡지
Three-year, 27,000 drive study reveals the most reliable hard drive makers
http://www.pcworld.c[...]
2014-01-14
[16]
웹사이트
Validating the Reliability of Intel Solid-State Drives
http://www.intel.com[...]
Intel
2011-07-01
[17]
웹사이트
Components returns rates (7)
https://web.archive.[...]
BeHardware
2012-11-16
[18]
웹사이트
How SSD power faults scramble your data
https://www.zdnet.co[...]
CBS Interactive
2013-03-01
[19]
웹사이트
SSD vs HDD – Why Solid State Drive
http://ocz.com/consu[...]
OCZ Technology
[20]
웹사이트
Price Comparison SSDs
http://www.dell.com/[...]
[21]
웹사이트
Intel confirms data corruption bug in new SSDs, halts shipments
http://www.computerw[...]
ComputerWorld
2009-08-03
[22]
웹사이트
More hard drive firmware bugs cause data loss
http://www.defcon-5.[...]
Defcon-5.com
2009-09-05
[23]
웹사이트
HDD vs SSD: What Does the Future for Storage Hold? – Part 2
https://www.backblaz[...]
Backblaze
2018-03-13
[24]
웹사이트
Nimbus Data Launches the World's Largest Solid State Drive – 100 Terabytes – to Power Data-driven Innovation
https://nimbusdata.c[...]
2018-03-19
[25]
웹사이트
Seagate Ships First 30TB+ HAMR Hard Drives
https://www.tomshard[...]
2023-04-21
[26]
웹사이트
IBM ESS Alert: Potential for SSD data loss after extended shutdown
https://www.ibm.com/[...]
2022-05-23
[27]
웹사이트
SSD reliability in the real world: Google's experience
https://www.zdnet.co[...]
2016-02-25
[28]
웹사이트
Study: Hard Drive MTBF Ratings Highly Exaggerated
http://www.dailytech[...]
[29]
웹사이트
HDD vs. SSD
https://www.diffen.c[...]
[30]
웹사이트
Samsung SSD 960 Pro Has 3,500 MB/s Read and 2,100 MB/s Write Speeds
https://www.legitrev[...]
2016-09-21
[31]
웹사이트
The PC Guide: Spindle Speed
http://www.pcguide.c[...]
[32]
뉴스
Computing Without a Whirring Drive
https://www.nytimes.[...]
2008-12-11
[33]
웹사이트
Hard Drive Data Recovery Glossary
https://web.archive.[...]
[34]
웹사이트
An SSD crash course: What you need to know
http://www.infoworld[...]
2010-06-07
[35]
웹사이트
Toshiba Announces 1.8-inch HDD for Tablets, Media Devices
https://www.eweek.co[...]
2011-01-25
[36]
웹사이트
How do SSD's function & do they hold up to HDD's?
https://dolios.net/h[...]
[37]
학회논문
A Large-Scale Study of Flash Memory Failures in the Field
2015
[38]
웹사이트
Poorly ventilated system cases can shorten the life of the hard drive
http://knowledge.sea[...]
[39]
웹사이트
The Differences Between an SSD and a Memory Card
http://kb.sandisk.co[...]
2020-10-08
[40]
논문
Flash Reliability in Production: The Expected and the Unexpected
http://0b4af6cdc2f0c[...]
2016
[41]
웹사이트
The SSD Endurance Experiment: They're All Dead
https://techreport.c[...]
2015-03-12
[42]
웹사이트
Backblaze Hard Drive Stats for 2018
https://www.backblaz[...]
Backblaze
2019-02-13
[43]
웹사이트
Tech Brief – Matching SSD Endurance to Common Enterprise Applications
https://documents.we[...]
2020-06-13
[44]
웹사이트
Product: Samsung 970 EVO NVMe M.2 SSD 1TB
https://www.samsung.[...]
2020-06-13
[45]
서적
The Essentials of Computer Organization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2014-02-14
[46]
웹사이트
Intel Z68 Chipset & Smart Response Technology (SSD Caching) Review
http://www.anandtech[...]
AnandTech
2012-05-06
[47]
웹사이트
SSD Caching (Without Z68): HighPoint's RocketHybrid 1220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2012-05-06
[48]
서적
Windows internals
Microsoft Press
[49]
웹사이트
Advanced Hard Drive Caching Techniques
http://www.linuxjour[...]
linuxjournal.com
2013-12-02
[50]
웹사이트
What is a Solid State Disk?
http://www.ramsan.co[...]
Texas Memory Systems
[51]
웹사이트
Solid-state revolution: in-depth on how SSDs really work
https://arstechnica.[...]
2019-09-27
[52]
웹사이트
The Solid State Storage Revolution
http://www.snia.org/[...]
SNIA.org
2010-11-07
[53]
웹사이트
SSD Controller Detail
http://www.storagere[...]
2010-04-09
[54]
웹사이트
Sandforce SF-2500/2600 Product Brief
http://www.sandforce[...]
2012-02-25
[55]
웹사이트
Flash SSD with 250 MB/s writing speed
http://www.micron.co[...]
Micron.com
2009-10-21
[56]
웹사이트
OCZ's Vertex 2 Pro Preview: The Fastest MLC SSD We've Ever Tested
http://www.anandtech[...]
AnandTech
2013-06-16
[57]
웹사이트
Optimizing Linux with cheap flash drives
https://lwn.net/Arti[...]
LWN.net
2013-10-03
[58]
웹사이트
LogFS
https://lwn.net/Arti[...]
LWN.net
2013-10-03
[59]
웹사이트
SLC and MLC
https://web.archive.[...]
2013-04-10
[60]
웹사이트
The Top 20 Things to Know About SSD
http://www.seagate.c[...]
2015-09-26
[61]
웹사이트
Solid-state disk lackluster for laptops, PCs
http://www.computerw[...]
2017-05-06
[62]
잡지
SSD laptop drives 'slower than hard disks'
http://www.pcadvisor[...]
2011-06-19
[63]
웹사이트
Methodologies for Calculating SSD Useable Life
http://www.snia.org/[...]
Storage Developer Conference, 2009
2010-06-20
[64]
웹사이트
Are MLC SSDs Ever Safe in Enterprise Apps?
http://www.storagese[...]
ACSL
[65]
웹사이트
SSD flash drives enter the enterprise
http://silvertoncons[...]
Silverton Consulting
2010-06-18
[66]
웹사이트
Over-provisioning: a winning strategy or a retreat?
http://www.plianttec[...]
StorageStrategies Now
2010-06-19
[67]
웹사이트
Are MLC SSDs Ever Safe in Enterprise Apps?
http://www.storagese[...]
ACSL
[68]
웹사이트
Samsung Introduces World's First 3D V-NAND Based SSD for Enterprise Applications
https://www.samsung.[...]
2020-03-10
[69]
웹사이트
Flash SSDs – Inferior Technology or Closet Superstar?
http://www.bitmicro.[...]
BiTMICRO
2010-08-14
[70]
웹사이트
RAM SSDs
http://www.storagese[...]
ACSL
2010-08-14
[71]
웹사이트
Hybrid DIMMs And The Quest For Speed
http://www.networkco[...]
2014-03-12
[72]
웹사이트
Next-gen storage that makes SSD look slow Using RAM drives for ultimate performance
http://www.techradar[...]
2010-01-28
[73]
웹사이트
Intel, Micron reveal Xpoint, a new memory architecture that could outclass DDR4 and NAND – ExtremeTech
http://www.extremete[...]
[74]
웹사이트
Intel Announces Optane Storage Brand For 3D XPoint Products
http://www.anandtech[...]
2015-08-18
[75]
웹사이트
Intel, Micron debut 3D XPoint storage technology that's 1,000 times faster than current SSDs
https://www.cnet.com[...]
CBS Interactive
[76]
웹사이트
Seagate Upgrades Hybrids, Phases Out 7,200RPM HDDs
http://thessdguy.com[...]
The SSD Guy
2013-03-30
[77]
웹사이트
Hybrid Storage Drives
http://www.storagese[...]
[78]
웹사이트
Buffalo Shows SSDs with MRAM Cache
http://www.tomshardw[...]
2012
[79]
웹사이트
Everspin first to ship ST-MRAM, claims 500x faster than SSDs
http://www.techspot.[...]
2012
[80]
웹사이트
SandForce SSDs break TPC-C records
http://www.semiaccur[...]
SemiAccurate.com
2010-05-03
[81]
웹사이트
Intel SSD, now off the sh..err, shamed list
http://blog.2ndquadr[...]
2011-04-09
[82]
웹사이트
Crucial's M500 SSD reviewed
http://techreport.co[...]
2013-04-18
[83]
웹사이트
Surviving SSD sudden power loss
http://www.storagese[...]
[84]
웹사이트
Crucial's M500 SSD reviewed
http://techreport.co[...]
2013-04-18
[85]
웹사이트
The Intel SSD DC S3700 (200GB) Review
http://www.anandtech[...]
AnandTech
2012-11-09
[86]
보도자료
SATA-IO Releases SATA Revision 3.0 Specification
http://www.sata-io.o[...]
Serial ATA International Organization
2009-05-27
[87]
웹사이트
Serial Attached SCSI Master Roadmap
http://www.scsita.or[...]
SCSI Trade Association
2015-10-14
[88]
웹사이트
PCI Express 3.0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pcisig.co[...]
PCI-SIG
[89]
웹사이트
SuperSpeed USB 10 Gbps – Ready for Development
http://www.heraldonl[...]
Rock Hill Herald
[90]
웹사이트
PATA SSD
http://www.transcend[...]
Transcend
[91]
웹사이트
Netbook SSDs
http://supertalent.c[...]
Super Talent
[92]
웹사이트
The (parallel) SCSI SSD market
http://www.storagese[...]
ACSL
2010-07
[93]
웹사이트
Solid State Storage 101: An introduction to Solid State Storage
https://www.snia.org[...]
SNIA
2009-01
[94]
웹사이트
2.5 inch Hard Drive - Geekworm Wiki
https://wiki.geekwor[...]
[95]
웹사이트
Apple Is Now Using SanDisk SSDs in the Retina MacBook Pro As Well
http://www.anandtech[...]
[96]
웹사이트
SSD: Dump the hard disk form factor
http://dcsblog.burto[...]
Burton Group
2010-01-27
[97]
웹사이트
SATA M.2 Card
https://www.sata-io.[...]
The Serial ATA International Organization
[98]
웹사이트
SSD prices face uncertain future in 2014
http://www.pcworld.c[...]
2014-01-17
[99]
웹사이트
SSD Moving into the Mainstream as PCs Go 100% Solid State
http://www.samsung.c[...]
Samsung Semiconductor, Inc
[100]
웹사이트
Enterprise SATADIMM
http://www.vikingtec[...]
Viking Technology
[101]
웹사이트
SATADOM
http://www.innodisk.[...]
Innodisk
[102]
웹사이트
PCI Express SSD from Fusion-io ioXtreme Is Aimed at the Consumer Market
http://news.softpedi[...]
Softpedia
2009-11-17
[103]
웹사이트
LSI delivers Flash-based PCIe card with 6 Gbit/s SAS interface
http://searchstorage[...]
2010-03-16
[104]
웹사이트
SSD Form Factors Proliferate at Flash Memory Summit 2018
https://www.anandtec[...]
[105]
웹사이트
ASUS ROG RAIDR Express 240GB PCIe SSD Review
https://www.tweaktow[...]
2013-12-06
[106]
웹사이트
SSD Form Factors | SNIA
https://www.snia.org[...]
[107]
웹사이트
SSDs
http://www.storagese[...]
ACSL
2011-06-27
[108]
웹사이트
New From SST: SST85LD0128 NANDrive - Single Package Flash Based 128MB Solid State Hard Disk Drive with ATA / IDE Interface
http://www.memec.ch/[...]
Memec Newsletter
2006-12
[109]
웹사이트
SST announces small ATA solid-state storage devices
http://www.wwpi.com/[...]
Computer Technology Review
2006-10-26
[110]
웹사이트
M1000 Specifications
http://www.memoright[...]
Memoright
2011-07-07
[111]
잡지
Compact, shock- and error-tolerant SSDs offer auto infotainment storage options
http://www.eetimes.c[...]
2008-11-19
[112]
웹사이트
StorageTek – circa 2004
http://www.storagese[...]
2017-12-11
[113]
웹사이트
Mushkin Enhanced Source HC 16 TB SSD Begins Showing Up at Retailers
https://www.thefpsre[...]
2021-09-19
[114]
문서
100,000,000,000,000 divided by 20,000,000
[115]
웹사이트
Samsung 32GB Solid State Drive | bit-tech.net
https://bit-tech.net[...]
[116]
웹사이트
Crucial T705 2TB SSD Review: The Fastest SSD on The Planet
https://www.tomshard[...]
2024-02-20
[117]
문서
15,000÷49.3
[118]
웹사이트
Seagate's first Pulsar SSDs ready to blast the enterprise
https://www.engadget[...]
2019-07-19
[119]
웹사이트
Samsung's 25GB / 50GB Enterprise SSDs can't stop, won't stop under heavy loads
https://www.engadget[...]
2019-07-18
[120]
문서
15,200÷80
[121]
문서
2,500,000÷79
[122]
웹사이트
WD Black SN850 1TB NVMe M.2 SSD Review
https://www.tweaktow[...]
2020-11-09
[123]
문서
0.5÷0.045
[124]
문서
0.5÷0.013
[125]
문서
was 20 MB for $1000, so 20÷1000=50 so $50 per MB, a GB is 1000 MB so 50×1000=50,000
[126]
웹사이트
Best SSD and Hard Drive Deals 2024
https://www.tomshard[...]
2024-06-20
[127]
문서
50,000 divided by 0.05
[128]
웹사이트
1987: Toshiba Launches NAND Flash
https://www.eweek.co[...]
2012-04-11
[129]
웹사이트
1971: Reusable semiconductor ROM introduced
https://www.computer[...]
2019-06-19
[130]
특허
US patent 5297148
[13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SanDisk brand. 1991 News
https://www.sandisk.[...]
SanDisk Corp
1991
[132]
웹사이트
1991: Solid State Drive module demonstrated
https://www.computer[...]
2019-05-31
[133]
웹사이트
There's a lot of sizzle with this STEC
https://www.theregis[...]
2014-11-24
[134]
서적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Development, and Catch Up: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5]
웹사이트
Solid-state drives meet military storage security requirements
http://www.mil-embed[...]
Military Embedded Systems
2007-02
[136]
문서
One gigabyte (1 GB) is equal to one billion bytes (1000³ B).
[137]
웹사이트
BiTMICRO 1999 News Releases
http://www.bitmicro.[...]
BiTMICRO
2010-06-13
[138]
웹사이트
Fusion-io announces ioDrive, placing the power of a SAN in the palm of your hand
http://www.fusionio.[...]
Fusion-io
2007-09-25
[139]
웹사이트
OCZ's New Blazing Fast 1TB Z SSD Drive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2009-03-04
[140]
문서
One terabyte (1 TB) is equal to one trillion bytes (1000⁴ B).
[141]
뉴스
Micron Announces World's First Native 6Gbps SATA Solid State Drive
http://www.dailytech[...]
2009-12-02
[142]
웹사이트
Seagate's new 60TB SSD is world's largest
https://arstechnica.[...]
2016-08-11
[143]
웹사이트
Seagate boasts of the fastest SSD flash drive at 10 GB/s
https://www.slashgea[...]
2016-03-09
[144]
웹사이트
Seagate Introduces 10 GB/s PCIe SSD And 60TB SAS SSD
https://www.anandtec[...]
[145]
웹사이트
Samsung's massive 15TB SSD can be yours – for about $10K – Computerworld
https://www.computer[...]
2019-01-02
[146]
웹사이트
Samsung 15.36TB MZ-ILS15T0 PM1633a 15TB Enterprise Class SAS 2.5" SSD
https://www.scan.co.[...]
[147]
웹사이트
NVMe Gets Refactored
https://www.eetimes.[...]
2021-06-30
[148]
웹사이트
Samsung's Hybrid 990 EVO SSD announced — world's first hybrid PCIe 4.0 x4 and 5.0 x2 SSD
https://www.tomshard[...]
2024-01-23
[149]
웹사이트
EMC has changed enterprise disk storage for ever:First into the enterprise flash breech
http://features.tech[...]
Techworld
[150]
웹사이트
1.040: efd – what's in a name?
http://thestorageana[...]
The Storage Anarchist
2009-02-18
[151]
웹사이트
The Intel SSD DC S3700 (200GB) Review?
http://www.anandtech[...]
AnandTech
2012-11-09
[152]
웹사이트
PX02SSB080 / PX02SSF040 / PX02SSF020 / PX02SSF010
http://toshiba.semic[...]
Toshiba Corporation
[153]
웹사이트
Micron's X100 SSD is its first 3D XPoint product | TechRadar
https://www.techrada[...]
2019-10-24
[154]
웹사이트
文庫本サイズのVAIO「type U」 フラッシュメモリー搭載モデル発売
https://www.sony.jp/[...]
2019-01-11
[155]
웹사이트
Dell Gets Flash With SSD Option for Laptops
http://www.itpro.co.[...]
IT PRO
2007-04-25
[156]
웹사이트
Dell adds 256GB SSD option to XPS M1330 and M1730 laptops
https://www.engadget[...]
2009-01-18
[157]
웹사이트
Dell first: 256GB solid-state drive on laptops
https://www.cnet.com[...]
[158]
웹사이트
Toshiba Ships First Laptop With a 512 GB SSD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2009-04-14
[159]
웹사이트
Toshiba announces world's first 512GB SSD laptop
http://news.cnet.com[...]
CNET News
2009-04-14
[160]
뉴스
$199 Laptop Is No Child's Play
https://www.forbes.c[...]
2007-06-07
[161]
웹사이트
Macbook Air Specifications
https://www.apple.co[...]
Apple Inc.
2009-10-21
[162]
웹사이트
Lenovo slips out the new ThinkPad X301: new CPUs, 128GB SSD, still thin as hell
https://www.engadget[...]
engadget.com
2008-08-15
[163]
웹사이트
MacBook Air
https://www.apple.co[...]
Apple, Inc.
2013-11-05
[164]
웹사이트
MacBook Air vs. the ultrabook alternatives
https://www.cnet.com[...]
[165]
웹사이트
NAND Flash manufacturers' market share 2018
https://www.statista[...]
[166]
웹사이트
SSD Sales up 14% in 2009
https://web.archive.[...]
storagereview.com
2010-01-20
[167]
웹사이트
Solid State Drives to Score Big This Year with Huge Shipment Growth
https://web.archive.[...]
iSupply
2012-04-02
[168]
웹사이트
SSDs sales rise, prices drop below $1 per GB in 2012
https://web.archive.[...]
ecoinsite.com
2012-01-10
[169]
웹사이트
39 Million SSDs Shipped WW in 2012, Up 129% From 2011 – IHS iSuppli
https://web.archive.[...]
storagenewsletter.com
2013-01-24
[170]
웹사이트
SSDs weather the PC storm
https://web.archive.[...]
TG Daily
2013-05-08
[171]
웹사이트
Samsung leads in 2008 SSD market with over 30% share, says Gartner
https://web.archive.[...]
DIGITIMES
2009-06-10
[172]
웹사이트
Changes between v2.17 and v2.17.1-rc1, commit 1a2416c6ed10fcbfb48283cae7e68ee7c7f1c43d
https://www.kernel.o[...]
2010-02-04
[173]
웹사이트
Linux kernel 2.6.33
http://kernelnewbies[...]
2013-11-05
[174]
웹사이트
swapon(8) – Linux manual page
http://man7.org/linu[...]
2013-12-12
[175]
웹사이트
SSD Optimization
https://wiki.debian.[...]
2013-12-11
[176]
웹사이트
kernel/git/stable/linux-stable.git: mm/swapfile.c, line 2507 (Linux kernel stable tree, version 3.12.5)
https://git.kernel.o[...]
2013-12-12
[177]
웹사이트
LKML: Tejun Heo: [GIT PULL] libata changes for v3.12-rc1
https://lkml.org/lkm[...]
[178]
웹사이트
Ubuntu Aims To TRIM SSDs By Default
https://www.phoronix[...]
2013-11-19
[179]
웹사이트
Enabling and Testing SSD TRIM Support Under Linux
http://techgage.com/[...]
Techgage
2011-05-06
[180]
웹사이트
openSUSE mailing list: SSD detection when creating first time fstab ?
http://lists.opensus[...]
2011-06-02
[181]
웹사이트
SSD discard (trim) support
http://en.opensuse.o[...]
openSUSE
[182]
웹사이트
Patrick Nagel: Impact of ext4's discard option on my SSD
https://patrick-nage[...]
2011-07-08
[183]
웹사이트
block/blk-lib.c, line 29
https://git.kernel.o[...]
[184]
웹사이트
Linux I/O Scheduler Comparison On The Linux 3.4 Desktop
https://www.phoronix[...]
Phoronix
2012-05-11
[185]
웹사이트
SSD benchmark of I/O schedulers
http://ubuntuforums.[...]
[186]
웹사이트
Linux kernel 3.13, Section 1.1 A scalable block layer for high-performance SSD storage
http://kernelnewbies[...]
2014-01-19
[187]
웹사이트
Linux kernel 3.18, Section 1.8. Optional multiqueue SCSI support
http://kernelnewbies[...]
2014-12-07
[188]
웹사이트
The multiqueue block layer
https://lwn.net/Arti[...]
2013-06-05
[189]
논문
Linux Block IO: Introducing Multi-queue SSD Access on Multi-core Systems
http://kernel.dk/sys[...]
ACM
[190]
웹사이트
Linux kernel 4.0, Section 3. Block
http://kernelnewbies[...]
2015-05-01
[191]
웹사이트
Mac OS X Lion has TRIM support for SSDs, HiDPI resolutions for improved pixel density?
https://www.engadget[...]
Engadget
2011-02-27
[192]
웹사이트
Yosemite 10.10.4 and El Capitan Third-Party SSD Support
http://www.macrumors[...]
2015-06-30
[193]
웹사이트
MacRumors Forum
http://forums.macrum[...]
2011-03-25
[194]
웹사이트
ATA Trim/Delete Notification Support in Windows 7
http://www.snia.org/[...]
[195]
웹사이트
Recovering Evidence from SSD Drives: Understanding TRIM, Garbage Collection and Exclusions
http://forensic.belk[...]
[196]
웹사이트
SSD performance tweaks for Vista
http://www.bit-tech.[...]
2009-08-27
[197]
웹사이트
If your SSD sucks, blame Vista, says SSD vendor
http://www.reghardwa[...]
[198]
웹사이트
Samsung, Microsoft in talks to speed up SSDs on Vista
http://www.computerw[...]
[199]
웹사이트
SSD Storage Demands Proper Partition Alignment
http://www.wwpi.com/[...]
2010-06-29
[200]
웹사이트
Solid State Doctor – Solid State Drive Utility for SSD's
http://www.lc-tech.c[...]
[201]
웹사이트
Support and Q&A for Solid-State Drives
http://blogs.msdn.co[...]
Microsoft
2009-05-05
[202]
웹사이트
Windows 7 gets SSD-friendly
http://apcmag.com/wi[...]
Future Publishing
2008-11-10
[203]
웹사이트
Deactivating Windows 7 Defragmentation for Solid-state Drives – Thomas-Krenn-Wiki
https://www.thomas-k[...]
[204]
웹사이트
The real and complete story – Does Windows defragment your SSD?
http://www.hanselman[...]
Microsoft
2014-12-03
[205]
웹사이트
Windows 7 and Optimization for Solid State Drives
http://www.tomshardw[...]
Tom's Hardware
2009-05-05
[206]
웹사이트
6 Things You Shouldn't Do with Solid-State Drives
http://www.howtogeek[...]
2013-06-20
[207]
웹사이트
SOLVED: Does Windows Defrag SSD's & What Is SSD Optimization? – Up & Running Technologies, Tech How To's
https://www.urtech.c[...]
[208]
웹사이트
ZFS L2ARC and SSD drives by Brendan Gregg
http://blogs.sun.com[...]
Sun Microsystem blog
2008-07-12
[209]
웹사이트
[base] Revision 240868
http://svnweb.freebs[...]
[210]
서적
UNIX and Linux System Administration Handbook, 4/e
https://books.google[...]
Pearson
[211]
문서
コトバンク、SSD
[212]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SSD Data Retention
https://www.anandtec[...]
AnandTech
2015-05-13
[213]
웹사이트
PLEXTOR、“SATA 6Gbpsの上限性能”に達したSSD「M6 PRO」
https://pc.watch.imp[...]
2014-08-07
[214]
웹사이트
再び常識を破ったSSD - リード最大3,500MB/sの第2世代M.2 NVMe「Samsung SSD 960 PRO」を検証(1)
https://news.mynavi.[...]
2016-10-19
[215]
웹사이트
【イベントレポート】 1,500万ドル超を投じて9カ月で完成させたPhisonの世界初PCIe 4.0 SSDコントローラ
https://pc.watch.imp[...]
2019-05-30
[216]
웹사이트
実測7,000MB/sec超え。CFDの第2世代PCIe4.0 SSD「PG4VNZ」シリーズ徹底検証
https://www.gdm.or.j[...]
[217]
웹사이트
アプリ起動もデータコピーも超高速!最新NVMe SSD注目7製品一斉比較 〜気になる発熱とサーマルスロットリングもテスト
https://pc.watch.imp[...]
2018-08-27
[218]
웹사이트
【特集】「USBメモリ」と「USBメモリ型SSD」は何が違うのか? - PC Watch
https://pc.watch.imp[...]
[219]
웹사이트
eMMCとは? SSDとの違いを比較しながら解説 | データ復旧の基礎知識コラム | Logitec データ復旧技術センター
https://www.logitec.[...]
[220]
문서
例:マウスコンピューター m-Book F シリーズの一部モデル、サードウェーブドスパラ GALLERIA GCF1070NF
[221]
웹사이트
デル公式サイト、ノートパソコン
https://www.dell.com[...]
[222]
웹사이트
HP公式サイト
https://jp.ext.hp.co[...]
[223]
웹사이트
高速ストレージ「SSD」が主流に、価格性能比でHDDをしのぐ
https://xtech.nikkei[...]
日経 xTECH(クロステック)
2011-01-19
[224]
서적
どう付き合うかSSD
日経BP社
2009-04-20
[225]
웹사이트
https://pc.watch.imp[...]
[226]
웹사이트
http://www.anandtech[...]
[227]
뉴스
3次元構造を採用したNAND型フラッシュメモリの新技術を開発
http://www.toshiba.c[...]
東芝プレスリリース
2007-06-12
[228]
웹사이트
https://eetimes.itme[...]
[229]
뉴스
ハイエンド・ストレージの世界もSSD、アメリカ・EMCが大手ベンダー初の製品発表
https://news.mynavi.[...]
マイコミジャーナル
[230]
뉴스
SunもSSD製品投入へ、ハイエンドサーバの世界で急速に広がるSSD
https://news.mynavi.[...]
マイコミジャーナル
[231]
웹사이트
ASCII.jp:HMBはNVMe SSD低価格化の切り札!?東芝メモリ「BG4」で実力検証 (1/6)
https://ascii.jp/ele[...]
[232]
웹사이트
【Hothotレビュー】エントリー向けSSDの新定番になるか?「Samsung SSD 980」を試す - PC Watch
https://pc.watch.imp[...]
[233]
웹사이트
システム技術/HMB技術開発とDRAMレスSSDの実現 | KIOXIA - Japan (日本語)
https://www.kioxia.c[...]
キオクシア
[234]
웹사이트
ASCII.jp:HMBはNVMe SSD低価格化の切り札!?東芝メモリ「BG4」で実力検証 (3/6)
https://ascii.jp/ele[...]
[235]
웹사이트
PS5にM.2 SSDを取り付ける方法 (日本)
https://www.playstat[...]
[236]
웹사이트
http://buffalo.jp/pr[...]
[237]
웹사이트
【特集】Windowsでストレージの空きが足りなくなったときに試すこと
https://pc.watch.imp[...]
PC Watch
[238]
웹사이트
ARROWS Tab Q508/SB 仕様
http://www.fmworld.n[...]
[239]
웹사이트
Windows 7のSSD対応追加情報
https://pc.watch.imp[...]
インプレス
[240]
웹사이트
進歩する Linux カーネル
http://www.ibm.com/d[...]
IBM
2009-03-24
[241]
웹사이트
SPARC/Solarisへの投資継続を表明、オラクル
https://atmarkit.itm[...]
[242]
웹사이트
イノベーションの歴史
http://www.sandisk.c[...]
サンディスク
[243]
간행물
【IMW 2011レポート】NANDフラッシュメモリの過去、現在、未来
http://pc.watch.impr[...]
Impress Watch Corporation
2011-05-31
[244]
웹사이트
SSDってなに?
http://www.semicon.t[...]
東芝セミコンダクター&ストレージ
[245]
웹사이트
http://www.micron.co[...]
[246]
웹사이트
Crucial「RealSSDC300」300MBsec超の速度を誇る超高速SSD
https://pc.watch.imp[...]
[247]
웹사이트
OCZ Vertex 3 Preview: The First Client-Focused SF-2200
http://www.anandtech[...]
[248]
웹사이트
https://xtech.nikkei[...]
[249]
웹사이트
http://www.toshiba.c[...]
[250]
웹사이트
Samsung、2018年内に容量32TBのSSDを投入
https://pc.watch.imp[...]
株式会社インプレス
2018-07-24
[251]
뉴스
ついに「1GB=1ドル」を切り、SSDは本格普及へ向かう
http://jp.chinasourc[...]
ChinaSourcing(中華人民共和国商務部主催)
2012-12-26
[251]
뉴스
ついに「1GB=1ドル」を切り、SSDは本格普及へ向かう
https://web.archive.[...]
COMPUTERWORLD (IDG)
2012-12-18
[252]
웹사이트
Western Digital、日立HDD事業の買収を完了 〜現金と株式で約48億ドル
https://pc.watch.imp[...]
株式会社インプレス
2012-03-09
[253]
웹사이트
サンディスクがHDD大手ウェスタンデジタルによる買収手続き完了を発表。WDはストレージ全体の最大手企業に - Engadget Japanese
https://japanese.eng[...]
[254]
웹사이트
Micron、読み込み/書き込み速度が250MB/secの高速SSD
https://pc.watch.imp[...]
[255]
웹사이트
WD Blue PC Hard Drive Series Distribution Specification Sheet
https://web.archive.[...]
[256]
웹사이트
SanDisk ウルトラ3D SSD
https://www.sandisk.[...]
[257]
웹사이트
Samsung SSD 980 PRO Samsung コンシューマ SSD
https://www.samsung.[...]
[258]
웹사이트
980 PRO | コンシューマーSSD | 仕様と機能 | サムスン半導体日本
https://semiconducto[...]
[259]
웹사이트
速い。長い。SSDモデルなら約10秒の高速起動 ジャケットスタイルモバイル レッツノートJ10
https://ad.impress.c[...]
[260]
웹사이트
MtronとSuper Talentが高性能/高信頼性をアピール
https://pc.watch.imp[...]
[261]
웹사이트
Super Talent's MasterDrive MX series Data Sheet
http://www.supertale[...]
[262]
웹사이트
SSDにデータを書込みまくり再起不能に追い込む耐久試験で分かった信頼性に関する真実とは?
https://gigazine.net[...]
2015-03-16
[263]
웹사이트
JEDEC SSD Specifications Explained - Alvin Cox [Compatibility Mode] 0
http://www.jedec.org[...]
JEDEC
[264]
웹사이트
制御ICで決まるSSD、微細化進展で信頼性確保が課題に
http://eetimes.jp/ar[...]
[265]
웹사이트
3次元メモリ:TビットNANDフラッシュに道、チップ上でメモリ・セルを積層
https://xtech.nikkei[...]
[266]
간행물
DOS/V POWER REPORT 2018年10月号 p58
[267]
웹사이트
M.2 SSDは冷却が必要?・・・・・・など、“ストレージのギモン” 3点を解決
https://akiba-pc.wat[...]
[268]
웹사이트
よく冷える最速クラスのNVMe SSD「Plextor M9Pe(Y)」の実力をテスト
https://akiba-pc.wat[...]
[269]
웹사이트
最新SSD完全解説 | SSD完全攻略マニュアル | DOS/V POWER REPORT
http://www.dosv.jp/o[...]
[270]
웹사이트
PCの動作が突然止まってしまう!SSDの謎の不具合「プチフリ」の原因と対策は?
https://www.pro.logi[...]
[271]
웹사이트
『Intel SSD 320』“8MB病”に対処するファームウェアをアップデート
https://weekly.ascii[...]
[272]
웹인용
Texas Memory Systems: Solid State Disk Overview
http://www.ramsan.co[...]
Texas Memory Systems
2012-12-14
[273]
웹인용
Solid-state disk prices falling, still more costly than hard disks
http://www.zdnet.com[...]
ZDNet
2012-12-14
[274]
웹인용
What is solid state disk? - A Word Definition From the Webopedia Computer Dictionary
http://www.webopedia[...]
ITBusinessEdge
2012-12-14
[275]
웹인용
Origin of Solid State Drives
http://www.storagere[...]
2010-03-20
[276]
서적
Computer Structures: Principles and Examples
http://research.micr[...]
McGraw-Hill Book Company
1982
[277]
백과사전
Auxiliary memory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2
[278]
서적
IBM User's Guide
http://web.utk.edu/~[...]
The University of Tennessee Computing Center
2016-08-13
[279]
웹인용
Charting the 30 Year Rise of the Solid State Disk Market
http://www.storagese[...]
ACSL
[280]
웹인용
Dataram Corp: 1977 Annual Report
http://www.storagese[...]
[281]
웹인용
Enterprise Storage Report for the 1990s
http://ntrs.nasa.gov[...]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2010-06-12
[282]
웹인용
Psion MC 400 Mobile Computer
http://retrocosm.net[...]
2013-12-13
[283]
웹인용
What is a Solid State Disk?
http://www.ramsan.co[...]
Ramsan.com
2009-10-21
[284]
문서
typical for SLC NAND - ~25 μs to fetch a 4K page from the array to the IO buffer on a read, ~250 μs to commit a 4K page from the IO buffer to the array on a write, ~2 ms to erase a 256 KB block
[285]
웹인용
Flash SSD with 250 MB/s writing speed
http://www.micron.co[...]
Micron.com
2009-10-21
[286]
웹인용
Solid-state disk lackluster for laptops, PCs
http://www.computerw[...]
2008-08-27
[287]
웹인용
Are MLC SSDs Ever Safe in Enterprise Apps?
http://www.storagese[...]
Storagesearch.com
2009-10-21
[288]
웹인용
Fusion-io vs Intel X25-M SSD RAID, Grudge Match Review - HotHardware
http://hothardware.c[...]
2009-12-24
[289]
웹인용
RIndMA Disk
http://hardwareforal[...]
Hardwareforall.com
2010-08-13
[290]
문서
파편화 라고 부른다.
[291]
문서
1층부터 9층까지 비닐로 된 진공 지퍼백을 감싸고 다 한번씩 떨어뜨려도 정보가 영구적으로 보존되는 SSD도 있다.
[292]
문서
2013년 기준으로 HDD로는 아직도 SATA2 규격의 전송 속도 제약을 넘지 못하고 있는 반면, SSD는 SATA3 규격의 속도 제약을 넘기고 PCIe의 한계에 도전하고 있다.
[293]
문서
하지만 10테라바이트 하드디스크가 발표된 바로 다음 날, 일본의 중소기업이 13테라바이트 SSD를 발표하였다. 즉, SSD의 용량이 하드디스크를 넘은 것.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샌디스크, 세계 최고속도 SSD 전격공개...8TB 대용량 - 매일경제
삼성 글로벌 1위 ‘고부가낸드’…올해는 딥시크 타고 훨훨 날까
삼성-WD, 대규모 데이터 관리 대안으로 ‘존 스토리지’ 선택 – 바이라인네트워크
명인이노, 국산 올플래시 어레이 생산 돌입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